쉬지 못하는 동아시아 은퇴자들...“한국 등 고령 근로자 계속 늘어”

입력 2023-01-08 17: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NYT, 한ㆍ중ㆍ일 등 아시아 국가 상황 소개
“한국 노인 빈곤율 40% 육박, 65세 이상 근로자도 많아”
부족한 연금도 퇴직 어려운 요인으로 꼽아

▲일본 도쿄에서 2020년 7월 16일 가게 직원이 가게 창문을 닦고 있다. 도쿄/AP뉴시스
▲일본 도쿄에서 2020년 7월 16일 가게 직원이 가게 창문을 닦고 있다. 도쿄/AP뉴시스
동아시아에서 은퇴 연령에도 일을 쉬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홍콩에서의 고령 근로자의 삶을 뉴욕타임스(NYT)가 7일(현지시간) 조명했다.

동아시아 인구는 세계 어느 곳보다 빠르게 고령화 중이다. 한국에선 노인 빈곤율이 40%에 육박하며 비슷한 비율의 65세 이상이 여전히 일하고 있다. 홍콩에선 노인 8명 중 1명이 은퇴를 못 했고 일본에선 그 비중이 4명 중 1명꼴에 달한다.

이들 국가는 과거 노동력 강화를 위해 출산 장려와 이민법 수정에 집중했다. 하지만 출생률이 급락하는 등 정책에 거의 도움 되지 못했다고 NYT는 지적했다.

대신에 한국과 일본에선 고령 근로자를 위한 임시 직업소개소가 생기거나 노조가 결성되는 등 고령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 노동 환경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고 소개했다. 처음엔 은퇴자들이 경제적 필요에 따라 일을 나가기 시작했다면 이젠 고용주들이 이들에게 더 의존하면서 둘 사이는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

은퇴자들의 연금이 부족한 점도 현 상황의 또 다른 이유로 꼽힌다. 한·중·일 월평균 연금 지급액은 500달러(약 63만 원)를 밑돌고 있다. 미국의 ‘401K’와 같은 개인 은퇴 프로그램이 도입되지도 못한 상황이다. 정규직에서 밀려난 이들은 결국 저임금 계약직으로 돌아와 연금으로 채우지 못한 생활비를 벌고 있다.

NYT는 “노동력에 포함되는 젊은 층이 줄면서 노동자들은 70대를 넘어서도 힘들게 일하고 있다”며 “한·중·일은 이런 인구 이동을 받아들이기 위해 기업 보조금과 은퇴 조정과 같은 정책적 변화를 실험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아시아엔 더 많은 유연성이 시급하다”며 “이런 상황이 멀지 않은 세계 다른 국가들도 이제 유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아시아에서 교훈을 찾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세계 야구 최강국 가리는 '프리미어12'…한국, 9년 만의 우승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뉴롯데’ 시즌2 키 잡는 신유열...혁신 속도 [3세 수혈, 달라진 뉴롯데]
  • '트럼프 랠리'에 8만9000달러 넘어선 비트코인, 어디까지 갈까 [Bit코인]
  • 오늘 최강야구 시즌 마지막 직관전, 대학 올스타 티켓팅…예매 방법은?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뉴욕 한복판에 긴 신라면 대기줄...“서울 가서 또 먹을래요”[가보니]
  • 트럼프株·비트코인 못잡았다면 ‘상장리츠’ 주목…잇달아 유증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트럼프 랠리’에 기록 대행진…다우 사상 첫 4만4000선 돌파
  • 오늘의 상승종목

  • 11.12 13:5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18,000
    • +9.7%
    • 이더리움
    • 4,707,000
    • +5.73%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4.88%
    • 리플
    • 855
    • +3.26%
    • 솔라나
    • 309,300
    • +6.18%
    • 에이다
    • 832
    • -0.12%
    • 이오스
    • 803
    • -0.25%
    • 트론
    • 238
    • +2.59%
    • 스텔라루멘
    • 162
    • +3.1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700
    • +1.7%
    • 체인링크
    • 20,630
    • +3.93%
    • 샌드박스
    • 438
    • +3.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