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전·월세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주택 거래 정보를 제공한다. 전세가 매매가격보다 비싼 ‘깡통전세’를 막을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앞으로 분기마다 해당 자료를 수집해 공개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2분기 서울 시내 지역·면적 등 유형별로 세분화된 '전·월세 시장지표'를 서울주거포털을 통해 시범 공개한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매년 약 47만 가구가 전세 또는 월세 계약을 맺는 만큼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택 임대계약 시 이사를 원하는 지역에 풀릴 임차 물량과 정확한 거래가격 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토대로 매물을 비교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지표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제공자료는 △전·월세 임차물량 예측정보(법정동·면적·주택유형·건축연한별) △지역별 전세가율 △전·월세 전환율 등이다.
전·월세 임차물량 예측정보는 새로운 전․월세가 임대차 시장에 나오는 것을 가정해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시기를 월 단위로 분석한 자료다. 자치구별로 시장에 새롭게 풀릴 물량을 예측해 공개한다.
아울러 물량 예측은 지역별(자치구·법정동별), 면적별(40㎡ 미만·40~85㎡ 미만·85㎡ 이상), 유형별(주택유형·건축연한·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으로 세분화해 제공한다.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이달부터 연말까지 시내 전체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전·월세 예측 물량은 최대 2만6858건이다.
'지역별 전세가율'도 제공한다. 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시 보증금액·유형 등이 동일한 조건의 주택에서 보증료율 상향기준을 부채비율 80%로 설정하고 있는 점에 착안해 80% 이상·90% 이상 지역을 구분하여 공개, 임차인은 깡통전세 여부를 미리 알아볼 수 있다.
시가 분석한 2분기 서울 시내 자치구별 전세가율을 살펴보면, 아파트 신규 계약은 평균 54.2%로 나타났다. 갱신계약은 38.3%로 계약갱신요구권 사용 등으로 인해 신규 계약보다 낮게 나타났다.
빌라(연립·다세대)의 경우 신규 계약 전세가율은 평균 84.5%, 갱신계약은 77.5%로 아파트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신축 빌라가 많은 강서·양천·금천·강동 등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는 시범 공개한 전·월세 시장지표를 분기별로 업데이트하여 공개할 계획이다. 자료는 서울주거포털 내 전·월세 정보몽땅에서 언제든지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으며 각 구청을 통해 책자 형태로도 배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