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이 낮고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 같은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영양 균형을 고려한 다양한 음식을 먹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서울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서울시민 만성질환 실태와 식생활 위험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유병률이 높은 만성질환은 이상지질혈증(36.0%), 비만(31.1%), 고혈압(25.3%) 등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2010~2019년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향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서울시민 1만1918명을 대상으로 9개 만성질환 유병률 변화 추세를 분석했다.
10년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은 고콜레스테롤혈증(10.1→19.1%)과 고LDL콜레스테롤혈증(10%→17.8%)이었다. 서울시민의 식생활 중 지방섭취가 늘면서 전반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올라간 영향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결과 개인소득보다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유병률 차이가 컸다. 남성에서는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유병률 격차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여성에서는 모든 만성질환에 대한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유병률 격차가 나타났다. 가구소득을 5분위로 나눴을 때 소득이 높은 5분위 여성은 고혈압 12.8%, 대사증후군 11.5%, 비만 14.7%를 기록했다. 반면 소득이 적은 1분위 여성은 고혈방 46%, 대사증후군 36.6%, 비만 38%로 높았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가구소득 수준이 낮거나 1인가구일수록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았다. 가구소득을 5분위로 나눴을 때 소득이 높은 5분위 여성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비만은 14.7%, 고혈압은 12.8%, 이상지질혈증은 24.8%에 그쳤다. 반면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 여성의 경우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각각 38%, 46%, 44.9%로 높았다.
비만과 고중성지방혈증의 경우 남성에서는 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올라간 반면, 여성에서는 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했다. 1인가구 여성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대사증후군 36.6%, 이상지질혈증 44.9%, 고혈압 34.1%로 높은 데 비해 4인이상 가구인 여성은 대사증후군 11.5%, 이상지질혈증 24.8%, 고혈압 14.9%로 낮았다.
저소득층, 1인 가구의 경우 만성질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인 식생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식생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민 중 에너지와 지방을 과잉으로 섭취하는 사람은 늘어났고 과일·채소를 1일 권장량인 500g 이상으로 섭취하는 사람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수준의 차이로 인한 식생활 양극화는 심해졌다. 가구소득이 가장 낮은 군에서는 식품안정성 확보가구분율이 낮고 영양섭취부족 분율이 높았다. 과일·채소 500g 이상 섭취자 분율과 건강식생활 실천율도 낮았다.
특히 1인가구 식생활은 건강하지 못했다.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이 높고, 식품안정성 확보가구분율이 낮았다. 또 영양섭취부족자의 비율이 높으면서 동시에 에너지·지방과잉섭취자 분율도 높았다. 부족과 과잉의 양극화된 문제가 공존하는 것이다.
보고서는 서울시가 과거보다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식환경을 파악해 서비스를 제공하려 다양한 정책사업을 시도하지만,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이 반영된 식생활 정책은 미흡한 실정"이라며 "질병의 중증도나 특이성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에서 진행되는 먹거리 지원 서비스는 대부분 가정간편식 등의 식품이나 도시락 지원 등 주로 사업수행자의 측면에서 제공과 관리가 용이한 식품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연구진은 "수혜자의 기저질환이나 식생활 여건을 반영한 섬세한 관리가 부재했다. 이 경우 먹거리 지원의 양적 달성은 쉽게 이룰 수 있지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은 보장하기 어렵다"며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섭취를 주의해야 하는 식품은 무엇인지, 제공된 식품을 조리해 먹을 환경이나 능력이 갖춰져 있는지 등 수혜자의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이들의 식생활 환경과 여건까지 염두에 둔 세부적인 사업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서울시민의 식생활 관리 방안으로 맞춤형 식품 처방 및 바우처 지급, 맞춤형 식품패키지 제공을 제시했다.
만성질환자이면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크지 않는 대상자에게는 맞춤형 식품처방과 채소·과일 등 신선식품과 건강밑반찬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는 바우체를 제공하고, 거동이 불편하고 조리는 가능한 경우에는 식재료 형태로 식품 패키지를 제공하느느 등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