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코로나19 확산 이전으로 회복하면서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물류 대란과 원자재값 상승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지난 8월 이후 세 차례나 이어진 기준금리 인상에 경영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4일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1%에서 연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금통위는 0.5%까지 낮췄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8월 15개월 만에 연 0.75% 수준으로 올렸고, 지난해 11월과 이달에 각각 0.25%포인트씩 인상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시켰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중소기업의 금융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된다. 코로나19로 은행에 의존해 자금을 조달해온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미 지난해 12월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886조4000억 원 수준에 달한다. 금리가 인상되기 전인 7월 858조1000억 원 대비 30조 원 가까이 늘었다.
중소기업이 금융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때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는 것이 바로 높은 대출금리다. 지난해 8월까지만 2.9% 수준이었던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9월 3.05%, 10월 3.14%까지 높아졌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12월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실태 조사'에서 중소기업이 10곳 중 4곳이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가장 큰 장애물을 대출금리(33.0%)였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기준금리가 1%p 상승할 때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이 8.48%p 증가할 만큼 금리 상승에 취약하다"며 "지속된 금리인상은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기업계가 원자재 가격과 운임비 상승 등의 악재에 둘러싸인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 연이어 단행될 경우 중소기업의 경영난이 가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금난으로 한계기업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만큼 금리 인상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에선 세 차례의 금리인상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적극적인 금융지원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3월 말 종료되는 대출만기연장의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올해 중소기업 자금사정이 악화됐고 올해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급격한 금리인상 지양, 대출만기 추가연장, 별도의 중소기업 신용평가 기준 마련 등 정부의 선제적인 금융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