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헝다그룹의 파산이 현실화하고 있다. 증권가에선 단기적으로 주식시장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7일 블룸버그 통신은 채무불이행(디폴트) 가능성을 예고한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6일까지 갚았어야 할 달러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헝다가 뉴욕 시간으로 6일 오후 4시까지 두 건의 달러 채권에 걸쳐 총 8249만 달러(약 976억 원)의 이자를 지급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헝다 계열사인 징청(景程ㆍScenery Journey)은 당초 예정일인 지난달 6일까지 2건의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 30일간의 유예 기간은 6일 끝났다.
헝다가 이 채권 이자를 갚지 못하면 공식적으로 디폴트 수순에 접어들게 된다. 다만 아직 헝다 측은 이와 관련한 공식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헝다는 6일 밤 이 채권 이자 상환 여부에 관한 정보를 언급하는 대신 외부 전문가들이 포함된 리스크해소위원회를 출범시켰다고 밝히며 채무조정 절차 개시가 가까워졌음을 암시했다.
헝다의 공식 디폴트가 선언되면 192억3600만 달러(약 22조7000억 원) 규모에 달하는 전체 달러 채권 연쇄 디폴트로 이어질 수 있다.
증권가에선 헝다그룹 파산이 현실화한다면 단기적으로 증시 충격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오미크론과 미국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등으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또 하나의 중국발 리스크가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업계에선 헝다 디폴트 사태가 국내 증시 쇼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헝다 디폴트 위험이 개별 기업을 넘어 시스템 위기로까지 전염될 가능성은 아직 낮다고 평가한다"며 "정부의 디폴트 대응 경험과 정책의 여력, 상대적으로 단순한 부채구조, 동계올림픽과 하반기 20차 당대표회의 등 정치적 부담 등을 감안한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는 위험 확산을 막기 위해 발 빠른 부채조정과 경기 부양이라는 두 가지 강한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며 "이번 주 12월 경제공작회의(12월 8일부터 10일까지)를 앞두고 있어 정책적 강도를 주목하게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