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지난 달 17일부터 31일까지 10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다. 이 기간 상승률만 61.78%에 달한다. 때문에 시가총액도 5조2810억 원에서 8조4073억 원으로 3조 원 이상 늘었다.
이같은 상승세는 두산중공업의 주력 사업 중 하나였던 원전사업의 재개 기대감 때문이다. 한미 정상은 지난 21일(현지시간) 공동 성명을 통해 "원전 사업 공동 참여를 포함해 해외 원전 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최고 수준의 원자력 안전·안보·비확산 기준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설명 자료에서 양국은 함께 원전 공급망을 구성해 해외 원전 시장에 공동 참여하기로 약속했다.
두산중공업은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가장 크게 타격을 받은 기업중 하나로 꼽힌다. 주력 사업이던 원자력발전 사업 부문의 실적이 급격하게 후퇴하면서 적자의 늪에 빠지기도 했다.
물론 정부가 원전 사업을 완전히 접은 것은 아니다. 현재 한국은 동유럽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에 원전 수출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탈 원전 정책을 벌이면서 해외 수출은 되겠느냐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실제로 현 정부들어 기업들의 원전 수주도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그렇지만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자력 산업 해외 수출에 협력한다는 데에 대원칙을 세우면서 분위기가 달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달 28일에는 원전수출자문위원회가 한미정상회담 이후 첫 회의를 개최하기도 했다. 증권가 역시 기대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라진성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전시장 협력에 대해 한미가 협력하겠다는 내용은 주목할 부분으로, 원전 프로젝트의 경우 다른 해외건설 사업과는 달리 기업간의 경쟁이 아니라 국가간의 경쟁”이라며 “체코 등 현재 수주 경쟁이 진행 중인 사업의 경우 당장 협력에 대한 결과물을 가져오기 쉽지 않겠지만 국가간 협력은 경쟁강도 완화 및 수주역량 강화 등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익명을 요구한 한 원자력 전문가는 “이번 선언이 원칙적인 약속에 그친 만큼 원전산업에 미칠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며 “기술 입찰에서 우리나라가 우선권을 가지는 정도는 되겠지만 그 이상 주도적인 역할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고 주장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두산중공업 자체만 놓고 봤을 때 주력이 원전사업에서 수소·해상풍력 등 청정에너지 사업 등으로 체질개선을 시도하고 있는 만큼 미래성이 충분하다는 의견이다.
이동헌 대신증권 연구원은 “두산중공업은 원전, 석탄화력, LNG복합화력의 전통 발전 및 풍력, 수소, 차세대 가스터빈, 소형 원전 등 명실공히 국내 발전 기자재 대장주”라면서 “연내 산업은행 대출 자금 2.8조 원 중 1.5조 원 이상 상환이 전망되고, 각 사업별로 안정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게 변수지만 중장기로는 국내에서의 확보한 입지가 담보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