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대한민국 스마트 EV 대상'은 이 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른 '전기차'를 진단하고, 자동차 산업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기획됐다.
평가의 공정성과 전문성, 당위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2년여 준비 과정도 거쳤다.
무엇보다 "국내에 존재하고 있는 갖가지 자동차 평가ㆍ시상식과 궤를 달리해야 한다"라는 절박함을 풀어내는 게 최대 과제였다.
21세기 자동차 산업은 IT와 전자기술 등이 접목된 산업의 총체적 산실이다. 제조사별로 수년에 걸쳐, 수천억 원의 개발비용을 투자해 신차를 개발한다.
이처럼 제조사가 밤잠을 줄여가며 연구개발에 매진한 자동차를 짧은 시승 몇 차례로 평가하는 것 자체가 평가의 당위성을 떨어트린다.
결국, 이를 극복하기 위해 △평가의 정당성 및 공정성 △심사의 전문성 △지속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고 2019년 행사 준비에 착수했다.
아울러 심사 대상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차협회(KAIDA) 회원사로 제한했다. 심사 차종 역시 2021년 4월 현재 국내에 판매 중인 전기차로 범위를 묶었다.
첫 단계로 대한민국 자동차 공학계를 대표하는 집단지성 '한국자동차공학회'의 추천을 받아 심사위원단을 위촉했다. 학계와 연구단체, 기업(非자동차 기업) 등에서 연구에 매진 중인 박사급 연구원과 교수 등으로 구성했다. 수상작 선정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불필요한 오해를 사전에 막기 위해서였다.
최종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자동차 공학계에서 명망이 높은 석학들로 채웠다. 제조사는 물론, 수입사까지 사전 심사 때부터 잔뜩 긴장하게 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심사 과정도 총 3단계로 나눴다. 심사단의 1차 사전 회의(4월 22일)를 통해 '전기차'를 평가하기 위한 심사 기준과 항목 등을 선정했다. 아울러 항목별 배점도 이 단계에서 확정했다.
2차 심사인 '실차 시승'은 국토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열렸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축구장 300개를 합쳐놓은 크기의, 국내 최대규모의 복합 자동차 성능 시험장이다. 총 18곳의 시험구간을 지닌 이곳에서 심사 대상인 전기차 11종의 시승 평가를 무사히 마쳤다.
3차 심사평가는 정밀 제원을 바탕으로 지난 7일 '한국자동차공학회' 대회의실에서 비공개로 열렸다.
이 과정에 앞서 심사위원단은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정밀 제원 등을 제조사 및 수입사에 요청했다.
심사에 참여한 제조사와 수입사 모두 60여 가지의 상세한 제원을 공개했다. 정밀 제원 일부는 사실상 기업의 '영업비밀'에 가까운 세부 내용까지 포함돼 있었다. 자동차공학자들의 심사인 만큼 심사 과정 역시 전문성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ㆍ환경부 등 전기차 유관 부처가 행사 추진 과정에서 후원을 자처했다.
나아가 향후 정부 부처와의 공동으로 행사를 개최할 가능성도 열렸다. 국내 최초로 열리는 순수 전기차 평가 대회인 만큼, 후원을 넘어서 유관 부처의 공동주최 제안도 이어졌다.
정부 부처는 순수 자동차 공학자들로 심사위원단이 구성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단순한 시승 행사에 그치지 않고 사전 심사와 차량 세부 제원을 바탕으로 한 종합평가까지 총 3차에 걸친 심사 과정 역시 공정성과 전문성에 힘을 보탰다.
행사에 참여한 제조사 관계자는 "언론이나 단체, 기업의 영향력을 철저하게 배제하고 진정한 자동차 전문가인 공학계 석학들이 심사위원단으로 모였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라며 "지속 가능한 전기차 평가 행사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