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기술신용대출 건수는 71만1663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8% 증가했다. 기술금융을 시작한 2014년 이후 처음으로 70만 건을 돌파한 것이다.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282조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늘어났다. 기술금융은 특히 코로나19가 확산을 시작한 지난해부터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2019년 41조7000억 원 늘어났지만, 작년에는 무려 61조4000억 원 증가했다. 올해부터 기술신용대출의 심사 기준이 깐깐해지면서 증가세가 한풀 꺾일 것이란 전망도 있었지만, 올해 들어서만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15조4000억 원 증가하며 작년의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무리한 실적쌓기 결과라는 지적이다. 이에 기술평가 품질 하락으로 기술금융 부실화 위험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반 담보 대출에 비해 미래가치를 보고 대출을 실행하는 만큼 대출 부실이 생길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일부 은행은 지식재산권(IP) 담보대출의 조건을 완화하는 등 대출 허들을 낮추기도 하고 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부실 대출이 생길 경우 IP가 담보일 경우 사실 리스크가 있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기술금융은 기술력은 뛰어나지만 자본이 부족해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 미래가치를 인정해 대출을 해주는 것이다. 기술금융은 주로 은행이 공급하는 기술신용대출과 벤처캐피탈(VC)이 자금원인 투자로 이뤄져있다. 기술신용대출은 신용도가 낮아도 대출이 가능하고, 일반 대출에 비해 금리는 낮고 한도는 높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제대로 된 기술 없이 대출을 하거나 기술 평가의 조작을 차단하도록 기술금융 대상업종과 업무절차 등의 세부기준을 담은 ‘기술금융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올해 1월부터 이를 적용한 바 있다.
기술신용대출 평가액 역시 203조7000억 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200조 원을 돌파했다. 기술신용대출 평가액은 기존 중소기업대출의 연장 및 대환, 증액을 제외한 순공급금액이다.
기술신용대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은 최근 가계대출을 확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기술금융을 확대하려는 은행권의 움직임과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해 빠르게 사업환경이 변화하면서 사업을 유지하거나 확대하기 위한 자금 마련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술금융을 장려하는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에 대출이 필요하지 않던 곳까지 자금 확충에 나서면서 이 같은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당국의 기술신용대출 가이드라인 변동 이후 예전보다 대출 부실의 위험성은 감소했다는 의견도 있다. 은행 관계자는 “최근에는 기술력이 우수한 업체들을 대상으로 대출이 나가면서 예전보단 (기술 없이 대출을 신청하는 업체가) 많이 걸러졌다”면서 “신용만 들어가지 않고 최근 보증서나 담보를 껴있을 수도 있어서 위험성이 많이 낮아졌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