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200, 코스닥150에 한해 공매도를 재개해도, 사실상 공매도 금지의 전면적 해제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 변동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가에서는 코스피200, 코스닥150에 들지 않지만, 시가총액이 크고 공매도가 활발했던 종목에 긍정적 투자심리가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공매도 금지 조치를 5월 2일까지 재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같은 달 3일부터는 코스피200, 코스닥150 구성종목에 한해 공매도가 재개될 예정이다.
13일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코스피 시가총액에서 코스피200이 차지하는 비중은 92%, 공매도 대차잔고 비중은 94%에 달하며 코스닥 시가총액에서 코스닥150이 자리하는 비중은 48%지만, 공매도 대차잔고 비중은 77% 수준”이라며 “사실상 공매도 금지 전면적 해제와 유사한 비슷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공매도 재개 시 코스피 시장에선 큰 영향이 없겠지만, 코스닥 시장에선 보다 뚜렷하게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며 “△개별주식선물로 인한 일부 헷지 수요 대체 △공매도 금지 전후의 대차잔고 패턴 △2008년ㆍ2011년 공매도 금지 사례 등으로 이를 설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선 코스피에 상장된 개별주식선물은 124종목, 코스닥은 22종목이다. 공매도 금지 후 코스피에서는 124종목(코스피200에 120종목 해당)의 개별주식 선물을 통해 헷지 수요가 일부 소화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특히 지난해 3월 16일 공매도 금지 후, 코스피의 공매도 대차잔고 보다 코스닥 대차잔고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매도가 재개된 후 이전 패턴으로 회귀한다고 가정하면, 코스닥 시장에 상대적으로 공매도 거래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 국내에서는 2009년, 2011년 공매도 금지 후 재개됐는데, 두 경우 모두 코스피보다 코스닥에서 대차잔고 증가가 두드러졌다. 오히려 코스피에서는 두 경우 모두 외국인 순매수세가 단기간 증가하기도 했다.
강대석ㆍ허재환 연구원은 “공매도라는 제도 자체가 증시 추세를 바꿀 수 있는 요인은 아니다”면서 “다만 개인투자자에게 불리한 제도인 만큼, 투자심리 위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결국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은 코스닥에서 더 불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공매도 금지 연장조치를 두고 수혜주 추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선 코스피200, 코스닥150에 들지 않지만 시가총액이 크고 공매도가 활발했던 종목에 주목하고 있다. 유동성은 풍부하지만, 공매도 재개 우려에서 벗어나서다.
KB증권 리서치센터는 “코스피200, 코스닥150에 편입될 정도로 시가총액이 큰 종목은 정기변경의 윤곽이 드러나는 4월에는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공매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와 지수 편입에 따른 패시브자금 유입 기대가 섞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통상 코스피200, 코스닥150 정기변경은 4월 종가를 기준으로 5월 중 발표한다. 이어 코스피200, 코스닥150 내 공매도 비중이 낮았던 종목과 공매도가 활발했던 종목을 구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민규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 시 익숙한 종목부터 공매도 수요가 생긴다면, 공매도 재개시점이 가까워질수록 하락우려도 커질 수 있다”며 “반대로 공매도가 활발하지 않던 종목은 상대적으로 공매도 이슈에서 자유로워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