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을 도입할 계획이 있거나 이미 도입했지만 단계를 고도화해 제조 혁신에 나설 의사가 있는 기업을 위해 정부가 나섰다.
23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에 따르면 전날부터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 신청이 시작됐다.
올해는 신청 방식이 바뀌었다.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신청하려면 올해 2ㆍ4ㆍ6월 정기 모집 시기를 노려야 한다. 1차 접수기한은 2월 25일까지다. 또한 2차는 4월 1일부터 4월 30일, 3차는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다.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을 위해 투입되는 예산은 총 4376억 원이다. 이중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를 위해 배정된 예산은 4002억 원에 달한다. 중기부는 민관 협력을 통해 6000개 이상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하고 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과 연계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공장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올해는 특히 보급사원 지원체계를 개편해 스마트공장 단계를 고도화하는 기업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중간 1단계 수준의 고도화에 나서는 기업은 2억 원을, 중간 2단계 이상 수준의 경우 4억 원을 각각 받게 된다. 기초 단계 공장의 경우 7000만 원이 지원된다.
마스크ㆍ손소독제, 진단시약, 백신 주사기 생산업체 등 코로나19 대응 제약·의료기기 제조기업 중 스마트공장 도입을 원하는 곳이 있다면 지금이 적기다. 선정 시 최대 5점의 가점을 신설했다.
로봇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은 로봇활용 제조혁신 지원사업을 활용하면 된다. 중기부는 올해 해당 사업에 181억 원을 투자해 기업당 3억 원 이내의 금액을 지원할 방침이다. 도입을 원하는 기업은 로봇 공급기업과 컨소시움을 구성해 신청해야 한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했거나 운영 중인 기업에서 현장 애로가 발생했다면 ‘스마트 마이스터’를 찾으면 된다. 스마트 마이스터는 대기업 제조현장에서 근무했거나 이에 준하는 경력과 학위 등을 가진 스마트공장 현장 전문가다.
중기부는 70억 원을 투입해 스마트 마이스터 500명을 총 800개 사에 지원할 예정이다. 선정기업은 스마트 마이스터를 3개월여 간 파견받아 현장 애로를 해결하고 대기업 수준의 제조 노하우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소기업 중 스마트공장 사후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곳은 사후관리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중기부는 구축 이후 1년 이상 지난 소기업 630여 곳을 대상으로 고장 및 결함, 솔루션 업그레이드와 핵심 부품 교체 등 사후서비스(AS) 비용 50%를 지원한다. 기업당 500만 원에서 2000만 원 한도 내의 지원금을 지급한다.
스마트공장 관련 전문 컨설팅이 필요하다면 ‘스마트화 역량강화’ 사업을 눈여겨보면 된다. 중기부는 860여 개 중소기업을 선정,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 등에 필요한 자문과 상담을 제공한다. 기업 수요에 따라 5일부터 10일까지 기간도 다양하다.
정부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기업이라면 스마트공장 수준 확인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기업당 80만 원에 달하는 수준확인비용을 중기부가 지원하기 때문이다. 확인을 받은 기업은 공공기관에 납품하거나 정책자금을 신청할 때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이 중요하다.
통합 공고문과 지원사업별 구체적인 내용은 중기부 홈페이지나 사업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