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 처음으로 '자치구 주도' 에너지 자립 마을 조성 사업을 시작했다. 그간 서울시가 사업을 주도했지만 지역 현장에서 주민과 자치구가 함께 협력하는 것이 에너지 자립 마을과 문화 조성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1년이 채 지나지 않았지만 참여 주민들도 반색하고 있다.
에너지 자립 마을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의 수요를 줄이고 공동체의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마을을 뜻한다. 이를 위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고 효율을 높이며 신재생에너지 생산에도 참여한다. 그간 서울시가 이 사업을 주도하면서 에너지 자립 마을 133개, 에너지 공동체 68개를 조성했다.
서울시는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자립 마을 조성을 위해 올해부터 자치구가 주도할 수 있도록 방향을 바꿨다. 에너지 자립 마을 우수사례를 알리기 위해서는 지역과 현장 중심의 자치구별 맞춤형 에너지 자립 마을 조성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특히 에너지 자립 마을, 에너지 공동체, 에너지거버넌스를 별도로 운영했던 사업을 '에너지 자립 마을 발굴ㆍ운영'으로 통합하면서 효율성을 높였다. 사업주관도 자치구에 이관하면서 지역 현장 상황에 맞는 에너지 자립 마을 조성을 꾀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기존 3년 졸업 에너지 자립 마을과 신규 에너지 자립 마을을 '멘토-멘티'로 묶어 우수사례를 확산하는 활동도 진행한다.
서울시는 올해 자치구 대상으로 사업을 공모했다. 그 결과 7개 자치구 34개 마을이 에너지 자립 마을 활동을 시작했다. 7개 자치구는 △관악구 △성북구 △서대문구 △구로구 △영등포구 △강남구 △양천구다.
사업은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홍보사업은 시민 3인 이상이 공동체를 형성해 마을주민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약 문화를 홍보하는 것. 이를 위해 마을 1개소당 100만 원을 지원한다.
마을사업은 생활공간이 같은 3인 이상이 마을을 구성해 실질적인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 생산하는 방법을 발굴해 실행한다.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거나 LED로 조명을 바꾸는 등의 작업을 진행한다. 마을 1개소당 최대 1000만 원을 지원한다.
'자치구 에너지 자립 문화 기반 조성사업'은 자치구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자치구 특성에 맞는 에너지 네트워크 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 에너지 체험과 투어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사업이다.
주민들이 스스로 사업을 설계하고 참여하는 만큼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향후 서울시나 자치구가 관련 사업을 또 진행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구로구에서 에너지 자립 마을 사업에 참여한 박상민 씨는 주민들과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가 사는 아파트 단지는 한 달에 한 번씩 오후 9시에 5분간 불을 끄거나 태양광 자동차 모형을 만들기도 했다.
박 씨는 "주민들이 태양광에 많이 공감하는 모양"이라며 "몇 명은 설치를 문의했고, 설치비도 저렴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홍보 기간이라 내년에 공식적으로 안건을 올려 동의하면 설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영등포구에 사는 김종배 씨 역시 달라진 환경에 반색했다. 그가 사는 아파트 단지는 외곽 등을 모두 LED로 교체했다. 에너지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밤에도 단지가 밝아져 주민들 역시 만족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구청에서 연락을 받고 이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며 "코로나19로 어려움도 있었지만 주민들과 관련 교육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 방침이 안 내려와서 모르지만 시가 다음에 새로운 계획을 발표하면 참여할 의사는 있다"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