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단체협상에서 임금을 동결키로 했다. 노사는 21일부터 열린 16차 교섭의 밤샘 협상을 통해 22일 이 같은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1년 만의 임금동결이다. 노조는 29일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인데, 최종 타결에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차 노사는 기본급을 동결하는 대신, 성과금 150%, 코로나19 특별격려금 120만 원, 재래시장 상품권 150만 원 지급에 합의했다. 적지 않은 반대급부다. 쟁점사항이었던 잔업 복원과 정년 연장에 대한 해결 방안도 마련됐다. 합의안에는 회사의 종업원 고용안정 노력, 미래차 계획 제시, 신기술 연구개발 투자 확대, 전기차 전용·혼용 생산체계 전환 등의 내용도 담겼다. 협력사 동반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강화, 상생결제 프로그램 등을 중점 추진키로 했다.
기아차 노사는 8월부터 교섭을 이어 왔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해 노조는 지난달 25일 이후 4차례의 부분파업을 벌였다. 2011년 이후 9년 연속 파업이다. 이로 인해 약 4만7000대의 생산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코로나19에 따른 위기극복과 미래 자동차산업의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노사 간 공감대가 형성됨으로써 연말을 앞두고 겨우 협상을 매듭지었다.
기아차는 같은 계열인 현대자동차와 함께 민주노총의 대표적 강성 노조 사업장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9월 임금을 동결키로 하면서 2년 연속 무분규 타결을 이뤄냈다. 임금인상보다는 고용 안정과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노사협력이 절실해진 데 따른 합의였다.
코로나 충격이 아니어도 자동차산업은 미래 모빌리티 혁신의 전환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기아차의 올해 글로벌 판매실적은 700만 대 달성이 힘겹다. 두 회사의 합산 판매는 2014년과 2015년 800만 대를 넘었다가, 2018년 740만 대, 2019년 719만 대로 떨어졌다.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 중심으로 자동차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경영환경 및 세계 시장 변화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쌍용자동차는 경영 악화로 차입금을 갚지 못하면서 2009년 이후 11년 만에 다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회생에 실패하면 고용과 지역경제에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지엠(GM)과 르노삼성도 올 들어 생산량이 각각 17%, 28% 쪼그라들면서 위태로운 상황이다. 한국지엠은 18일 겨우 올해 임단협을 타결했지만, 르노삼성 노사협상은 여전히 난항이다.
코로나 사태 이후 수출과 내수가 한꺼번에 무너지고 기업들의 경영난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우선 기업이 살아야 일자리를 지킬 수 있다. 어느 때보다 노사협력을 통한 기업의 지속성 확보가 절박한 과제다. 기아차 노사의 임금동결 합의가 상생과 협력의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