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명 중 4명이 뛰어든 재테크…목표는 ‘내 집 마련’·‘노후자금 마련’

입력 2020-08-13 09: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직장인 5명 중 4명은 재테크에 나선 이유로 ‘내 집 마련’과 ‘노후자금 마련’을 꼽았다.

일자리 플랫폼 벼룩시장구인구직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직장인 2891명을 대상으로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재테크’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7.1%가 ‘재테크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직장인’의 84.7%가 재테크를 한다고 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20대 76%, 40대 73.7%. 50대 59.6% 순이었다. 기혼(76.5%)보다는 미혼(77.7%)의 재테크 투자 비율이 높아 부양가족이 없는 젊은층일수록 적극적인 재테크 투자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테크를 하는 목적은 ‘내 집 마련’(29.2%)과 ‘노후 자금 마련’(27.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여유자금 확보’(21.1%), ‘대출 청산’(10.5%), ‘결혼 준비’(6.4%), ‘자녀 양육 및 부모부양’(5.1%) 순이었다. 미혼은 ‘내 집 마련’(33.6%)을, 기혼은 ‘노후 자금 마련’(33.8%)을 최대 이유로 꼽아 재테크에 나선 배경에서 차이를 보였다.

직장인들은 월 소득의 평균 30%를 ‘연간 수익률 3~5%’(33.9%)를 목표로 리스크가 적은 ‘은행예·적금’(74%)에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테크를 위해 필요한 습관으로는 ‘신용카드 안 쓰고 先저축 後지출하기’(26.4%)를 1위로 꼽았다. ‘가계부로 새는 돈 막기’(25.2%), ‘재테크 공부하기’(24.8%)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재테크를 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여유 자금이 없어서’(60.3%),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몰라서’(19.5%), ‘상환해야 할 빛이 있어서’(10.6%), ‘실패할 것 같아서’(4.1%) 등을 이유로 꼽았다.

전 응답자의 85.1%가 ‘내 집은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는데, 특히 재테크를 하지 않는 그룹에서도 80.7%가 ‘내 집은 필요하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평균 4억7000만 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공급망 안정이 경제안보...공급망 다변화·친환경 전환 서둘러야” [기후가 삼킨 글로벌 공급망]
  • 물류비 타격에도 B2B로 선방…LG전자, 영업익 20%↓ 매출 ‘최대’ [종합]
  • '기아 vs 삼성' KBO 한국시리즈 3차전…중계 어디서?
  • 율희, 전남편 최민환 업소 폭로 "가슴에 돈 꽂아"…아가씨 찾는 녹취까지
  • 취약계층에 월세와 생계비 주는 '서울시 희망온돌 위기긴급지원기금'[십분청년백서]
  • '사이버 룸살롱'이 웬 말…아프리카TV→숲, 사명 변경보다 중요한 '이것' [이슈크래커]
  • 2024 KBO 한국시리즈 우승 상금…얼마나 받을까? [그래픽 스토리]
  •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김혜경에…검찰, 벌금 300만 원 재차 구형
  • 오늘의 상승종목

  • 10.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027,000
    • +1.79%
    • 이더리움
    • 3,494,000
    • -0.03%
    • 비트코인 캐시
    • 506,500
    • +5.17%
    • 리플
    • 733
    • +0.55%
    • 솔라나
    • 244,900
    • +3.2%
    • 에이다
    • 477
    • -1.65%
    • 이오스
    • 652
    • +0.46%
    • 트론
    • 227
    • +2.25%
    • 스텔라루멘
    • 133
    • +1.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100
    • +3.39%
    • 체인링크
    • 15,900
    • +1.21%
    • 샌드박스
    • 367
    • +0.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