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BMW, 다임러 등 세계 자동차 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력 감축을 단행하거나 예고했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고용을 유지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이 커지는 만큼 정부의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상황이 어려워진 차 업계는 구조조정과 인력감축 계획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먼저, GM은 지난 5월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의 인력을 8% 감축했고, 미국 테네시주 공장의 3교대 인력을 680명 줄였다.
르노는 슬로베니아 공장 인력 3200명 중 400명을 줄인 데 이어, 프랑스 공장 인력 4600명을 포함해 세계 6개 공장에서 1만5000명을 줄일 계획을 발표했다.
BMW는 계약직 근로자 1만 명의 고용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고, 희망퇴직을 지원받아 정규직 5000명도 줄일 것을 검토하고 있다.
다임러는 2022년까지 1만 명을 줄이기로 한 데 이어, 2025년까지 1만 명을 추가로 감축할 계획을 세웠다.
닛산은 미국 공장 1만 명, 영국 공장 6000명, 스페인 공장 3000명 등 총 2만여 명을 줄일 것을 검토하고 있다.
재규어랜드로버는 영국 공장의 계약직 1000명 이상을 감축할 예정이다. 미쓰비시도 태국공장의 인력을 줄일 계획이고, 맥라렌(1200명), 벤틀리(1000명), 애스턴 마틴(500명)도 인력 감축 계획을 내놓았다.
반면, 국내 완성차 업계는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각종 지원정책 등에 따른 견조한 내수로 고용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다. 다만, 미국과 유럽, 남미 등 주요 수출 시장에서 수요 감소가 확대됨에 따라 수출 감소세가 지속하고 있어 업계의 고용 유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KAMA는 국내 차 업계의 더 큰 어려움을 막기 위해 정부의 추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먼저,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을 위한 휴업 규모율 요건을 100분의 20에서 과거처럼 15분의 1(약 6.7%)로 완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준을 '전(全) 사업장'에서 생산, 영업, 연구개발 등 사업부별로 전환하는 개선도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휴업 규모 비율을 계산할 때 '전체 사업장'을 기준으로 산정하게 돼 있어, 생산 공장이 휴업해도 사무직과 연구직이 근무하는 경우엔 지원금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국내 완성차 업계는 생산라인 운영 속도를 조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용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최근에는 일부 휴업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고용유지지원금 확대나 제도 개선 등 정부의 지원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