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코로나19의 본격적인 영향권에 들지 않았고, 반도체 부문 실적이 개선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일부 환율 효과도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이 지난달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어 2분기 실적은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실적이 매출 55조 원, 영업이익 6조40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98%, 영업이익은 2.73% 증가했다. 다만, 전기 대비 매출은 8.15%, 영업이익은 10.61%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선방한 실적을 거뒀다는 평가다. 증권사들이 전망한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은 매출 55조4929억 원, 영업이익 6조1231억 원이었다. 매출은 컨센서스보다 적었지만,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했다.
특히 최근엔 5조 원대 후반을 점쳤던 증권사들도 많았는데, 이를 훌쩍 뛰어넘는 실적을 냈다.
삼성전자는 부문별 실적은 이날 공개하지 않았지만, 반도체는 양호하고 스마트폰 부문도 예상보다는 나쁘지 않았을 것으로 분석된다.
반도체는 코로나19 사태에도 생산에 차질이 없었고 오히려 영상회의 등 언택트(비대면) 업종의 호황으로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어났다. 전체적인 메모리 가격도 지난해 불황에서 벗어나 상승세다.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에 주로 사용되는 DDR4 8기가비트 D램 제품의 3월 고정 거래 평균 가격은 전달 대비 2.1% 오른 2.94달러를 기록했다. 3개월째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스마트폰 사업은 갤럭시S20과 폴더블폰 등 플래그십 제품의 소매점 판매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부진했지만, 출하에는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IM 부문의 영업이익은 전문가들이 전망한 2조 원 초반보다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
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CE 부문 역시 1분기에는 TV의 판매호조로 전 분기 수준의 실적을 낸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2분기부터다. 삼성전자의 주요 매출처인 미국과 유럽에서 코로나19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코로나19 여파가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전망이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2분기 반도체 부문은 기업들의 서버 수요는 양호한 반면 모바일 수요 감소 영향으로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폰 사업은 2분기에 판매 부진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가전 사업 역시 글로벌 생산 기지 셧다운과 북미와 유럽의 가전 유통망 중단, 도쿄올림픽 연기 등 대형 스포츠 행사 취소에 따른 영향으로 2분기 실적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2분기 IM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4%, CE 부문은 70% 감소가 예상된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이 3월 중순이 후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며 "스마트폰과 TV 수요가 줄어들기 시작했고, 해외 생산량도 위축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가 비교적 선방하겠지만, 2분기 실적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