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많은 정부가 국민을 향해 집에 머물러 달라고 호소하는 가운데 스웨덴은 국민의 이동권을 제한하지 않는 '집단 면역'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국내 저위험군 인구 60% 이상이 면역성을 가져 감염성의 확산 속도를 늦추거나 멈추는 ‘집단 면역’ 전략을 택했다. 바이러스가 완치돼 항체를 보유하거나 예방 백신을 맞은 집단 구성원의 상당수가 면역력을 갖게 된 상태를 뜻한다. 바이러스 종식이 아닌 완화에 초점을 맞췄다. 이 같은 전략은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례적인 방식이다.
스웨덴 정부의 전략에 따라 국민은 일상적인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다른 국가와 달리 스웨덴의 국경은 여전히 열려 있고, 유치원부터 9학년까지 학교 수업도 정상적으로 진행한다. 길거리와 식당에도 평소처럼 사람들이 북적거린다. 집회도 500명 이상인 경우에만 금지해 많은 인원이 모이는 것 자체를 막지 않았다.
BBC는 원격근무를 장려하는 스웨덴의 기업문화 등이 다른 유럽국가와 다른 코로나19 대책이 가능한 이유라고 분석했다. 유연 근무와 원격근무가 가능한 기술력과 기업문화가 자리 잡았고, 수도 스톡홀름 직장인 가운데 절반이 원격근무를 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있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집단 면역을 선택한 요인으로 스웨덴 특유의 문화가 꼽힌다. 스웨덴은 가구 절반 이상이 1인 가구다. 유럽에서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고, 평균 18~19세가 되면 대부분 부모로부터 독립한다. 자연스레 대가족이 많은 이탈리아와 스페인보다 가족 내 감염이 적을 수밖에 없다.
그뿐만 아니라 공공장소에서 가까이 붙지 않거나 낯선 사람들과 대화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을 진행해 일정 거리를 유지하라고 독려하지만, 스웨덴은 이미 이 일을 실천해왔다고 볼 수 있다.
스테판 뢰벤 스웨덴 총리는 “여러분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 동료, 그리고 나라를 위한 희생을 치러야 할 때가 있다. 지금이 바로 그 순간이다”라고 강조하면서도 도시 봉쇄, 이동금지 등 강력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스웨덴은 한국시간 1일 오전 9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4028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146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