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피 1954.77p, 하락(▼85.45p, -4.19%)마감. 개인 +12744억, 기관 -407억, 외국인 -13072억

입력 2020-03-09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하락 기조를 보였던 코스피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밀려 장 종반에도 하락세를 면치 못한 채 마감했다.

9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5.45포인트(-4.19%) 하락한 1954.77포인트를 기록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개인은 매수세를 보인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하며 장을 마쳤다.

개인은 12744억 원을 순매수 했으며 기관은 407억 원을, 외국인은 13072억 원을 각각 순매도 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현재 상승중인 업종은 없는 반면 전기·전자(-5.62%) 기계(-5.48%) 등의 업종은 하락했다.

이외에도 의료정밀(-5.47%) 운수장비(-5.39%) 운수창고(-4.74%) 등의 업종이 하락 마감했다.

주요 테마 중 자전거(-7.58%), 풍력에너지(-6.70%), LED(-6.55%), PCB생산(-6.42%), 태양광(-6.11%) 관련주 테마는 상대적으로 내림세로 마쳤다.

삼성전자는 4.07% 내린 5만4200원을 기록했으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개 종목이 상승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0.61% 오른 49만4000원에 마감했다. 삼성SDI(-6.79%), LG화학(-6.50%), NAVER(-6.41%)는 하락한 채 장을 마쳤다.

그 밖에도 파미셀(+11.29%), 진원생명과학(+9.64%), 모나미(+9.42%)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하나니켈2호(-24.21%), 현대에너지솔루션(-18.74%), 한진중공업홀딩스(-18.41%)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33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868개다. 3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204원(+1.11%)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일본 엔화는 1172원(+3.83%), 중국 위안화는 173원(+0.88%)을 마감했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백신 음모론’ 펼친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 임명
  • 삼성전자, 'CES 2025' 최고 혁신상 4개 포함 29개 대거 수상
  • 北 김정은, 자폭공격형 무인기 성능시험 지도…‘대량 생산’ 지시
  • 韓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국내 채권시장 최악의 시나리오, 환율 상향 고착화”
  • “증거 인멸 우려” 명태균·김영선 구속…검찰 수사 탄력
  • 프리미어12 한국 대표팀, 오늘 일본과 B조예선 3차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09: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783,000
    • -2.68%
    • 이더리움
    • 4,370,000
    • -3.64%
    • 비트코인 캐시
    • 595,500
    • -4.57%
    • 리플
    • 1,103
    • +12.21%
    • 솔라나
    • 299,900
    • -1.83%
    • 에이다
    • 823
    • +0.24%
    • 이오스
    • 774
    • -1.28%
    • 트론
    • 251
    • -1.18%
    • 스텔라루멘
    • 186
    • +5.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200
    • +1.16%
    • 체인링크
    • 18,530
    • -3.29%
    • 샌드박스
    • 389
    • -3.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