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성 한국유통학회장(동덕여대 교수)은 지난달 28일 이투데이와 만나 한반도를 덮친 코로나19가 한국 유통업의 중심축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바꿀 것이라고 예측했다. 2월 한 달간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유통 대기업의 손실액은 5000억 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바이러스 확산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향후 손실액은 조 단위를 훌쩍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김 교수는 무엇보다 비상 상황에서 ‘의무휴업일’ 등 대형마트 규제가 오프라인 시장 경쟁력 악화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2012년 유통산업발전법 개정 후 대형마트는 월 2회 의무휴업을 해야 하며 휴업하는 날엔 오프라인 영업이 불가할 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주문을 받거나 배송을 할 수 없다. 김 교수는 “비상 사태에는 온라인 비대면 쇼핑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그나마 오프라인을 이용하려는 고객들도 ‘의무휴업제’로 대형마트를 찾지 않게 됐다”며 “이제 총 소비에서 온라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사실상 오프라인이 어렵게 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 교수는 코로나19가 유통업계의 디지털 기술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했다. 간편 결제 시스템을 갖춘 ‘무인 편의점’이 증가하는 등 실제로 유통업계에서 기술 진보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다. 그는 “산업은 시국에 맞춰 혁신하기 마련”이라며 “사람과 접촉을 하지 않고 쇼핑을 할 수 있는, 특히 VR(가상현실)을 이용한 쇼핑이 현실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19 이후 침체된 소비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김 교수는 정부와 기업의 역할을 강조했다. 특히 정부 정책에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 교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일과 같은 규제를 한시적으로라도 풀고, 소비세를 낮추고 세액 공제 범위를 늘리는 등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정치 논리를 배제한 정책이 나오지 않으면 자칫 산업이 공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쇼핑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몰리면서 온라인은 물건이 동나는데 비해 오프라인 매장은 상대적으로 상품 재고가 넉넉한 편이다.
기업에는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소비 진작을 위해 생필품의 경우에는 수입 등을 통해 빠르게 물량을 확보해 소비자 편의성 제고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이 과정에서 유통업체는 제조업체와의 협상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을 형성해 ‘사회적 책임 경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코로나 시국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의 ‘선진적 자세’와 ‘협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벌어진 일에 대한 끊임 없는 비판만으로는 코로나 확산을 막을 수 없다”며 “국민들은 가능한 정부 정책에 힘을 실어주고, 정부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사회적 협조’가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