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을 경험하고 재취업에 성공했지만 1년 이내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인 여성이 30.5%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와 서울시 여성능력개발원은 서울에 거주하는 30~54세 여성(미혼ㆍ기혼 포함) 중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취업 여성 1015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만족도 및 요인조사 연구’를 실시하고 주요 내용을 31일 발표했다.
재취업한 회사를 그만두는 이유로는 △직장이나 직무가 전망이 없어(16%) △근무조건 또는 작업환경이 나빠서(15.7%) △이직(11.2%) △계약 기간 만료(8.3%) △결혼ㆍ임신ㆍ출산(7.7%)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현재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가 아니라고 느끼거나 결혼ㆍ임신ㆍ출산ㆍ가족 돌봄 등의 이유가 큰 비율을 차지했다.
특히 1년 이내에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이라고 답한 3명 중 1명(31.7%)은 ‘직장이나 직무가 전망이 없어서’, ‘근무조건 또는 작업환경이 나빠서’ 등 현재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가 아닌 것에 대한 불만 때문에 퇴사를 결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혼ㆍ임신ㆍ출산’, ‘취학 자녀교육’, ‘미취학자녀육아’, ‘가족 돌봄’을 합한 비율은 20.2%로 1년 이내에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이라고 답한 5명 중 1명꼴이다.
여성경제활동을 위해 가장 추진하기 바라는 정책은 ‘연령차별 금지 정책’, ‘비정규직 처우 및 근로조건 개선’, ‘돌봄 노동 임금 현실화’ 등 이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들은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경력단절로 인한 일 공백’(16.1%)을 꼽았다. 이어 △수입이나 보수가 맞지 않아서(14.5%) △연령차별(12.9%) △학력, 자격증 등 요구조건이 맞지 않아서(10.9%) 순이다.
과거 주된 일자리에서 현재 일자리 시작까지 경력단절 기간은 평균 4.2년이었다. 구간별로는 ‘2년 미만’이 48.1%로 가장 많았고 △2~5년 미만 22.9% △5~10년 미만 14.7% △10년 이상 14.1%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일자리와 과거 주된 일자리가 밀접한 정도를 묻는 질문엔 60.9%가 밀접하다고 응답했고, 39.1%는 밀접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현재 일자리 입사 시 과거 일한 경력을 인정받은 비율은 48.1%로 인정받지 않은 비율(51.9%)이 더 높았다.
전체 응답자 1015명 중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경험은 16%(166명)로 이 중 50~54세, 고졸 이하, 비혼자 집단이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경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중 서울시 여성발전센터ㆍ여성인력개발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취업에 도움이 된다’ 78.2%, ‘직무수행에 도움이 된다’ 61.9%로 대체로 만족 수준이 높았다.
특히 여성경제활동을 위해 서울시가 가장 추진하기 바라는 정책은 ‘연령 차별 금지’ 정책이다.
‘비정규직 처우 및 근로조건 개선’, ‘돌봄 노동 임금 현실화’, ‘노동권이 보장되는 시간제 일자리’ 등 노동현장에서의 차별을 개선하거나 금지하는 정책을 바라는 비율이 59.5%로, 10명 중 6명이 차별 없는 고용환경을 원했다.
‘일ㆍ생활균형 기업문화 정착’, ‘남성육아 휴직 의무화’, ‘정부 아이 돌보미 확대’, ‘국공립 어린이집 시설 확충’, ‘초등돌봄 지원’, ‘가족 친화 인증기업 확대’ 등 일ㆍ생활균형을 위한 정책을 바라는 비율은 27.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