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화웨이테크놀로지 봉쇄라는 초강수를 둔 건 일본, 한국, 유럽 등 동맹국들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도 담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은 외국 기업들이 미국산 부품을 화웨이에 공급하는 것도 허용하지 않는다. 미국 기업들만 화웨이와 거래를 못하는 게 아닌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동맹국들에 차세대 이동통신 5G 인프라에서 화웨이를 배제시키라고 요구해왔다. 신문은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 기업은 물론 동맹국들까지 화웨이와 거래를 하지 못하도록 압박 수위를 높인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를 위반한 기업은 외국 기업이라도 미국 정부로부터 제재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신문은 트럼프의 이번 조치로 글로벌 기업들의 실적이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나 전자부품회사들의 수익 가운데 중국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2018년 화웨이가 소니, 파나소닉, 무라타, 교세라, TDK, 재팬디스플레이, 스미토모전기공업, 도시바메모리 등 일본 업체들로부터 부품을 조달한 규모는 총 60억 달러(약 7조1490억 원)에 달한다.
당장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직후, 미 상무부가 화웨이를 거래제한 기업 명단에 올려 수출길을 사실상 봉쇄하자 일본 증시의 닛케이225지수는 반등 하루만에 하락 반전, 심리적 지지선인 2만1000까지 밀렸다. 전자부품주 등 관련 종목의 매도세가 강해지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LG유플러스도 서울, 수도권북부, 강원 지역의 이동통신 시설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화웨이는 또 한국전력의 고성능 전국망 구축, 코스콤(옛 한국증권전산) 백본망 사업 등을 수주했다.
한편에선 화웨이에 대한 매출 감소 영향이 중장기적으로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화웨이 제품 생산이 떨어지는 대신 대체 수요로 다른 제조업체 생산이 증가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애플이나 삼성전자 등의 수요 증가로 일본 부품업체들의 매출도 늘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미국에 안보를 의존하는 이상 동맹국이 미국 측 요구를 완전히 배척하기는 어렵다고 신문은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