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대구 달성군 현대로보틱스에서 열린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보고했다. 정책 지원을 통해 로봇 산업 규모를 지난해 5조7000억 원에서 15조 원으로 늘리고 매출 1000억 원 이상 로봇 기업도 6개에서 20개까지 육성하기로 했다.
로봇산업 발전방안은 크게 세 축으로 이뤄져 있다. 제조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 육성·보급, 부품·소프트웨어 등 산업 생태계 역량 강화다.
산업부는 제조용 로봇 보급을 위해 25개 업종 1080개 회사에 로봇 7560대를 지원키로 했다. 특히 뿌리산업과 섬유산업, 식음료 산업에는 로봇 보급을 서두르기로 했다. 이들 업종은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공정이 단순해 로봇 활용 효과가 크다는 판단에서다. 또 기업들의 로봇 구매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금융기관과 함께 로봇 렌탈·리스 서비스도 활성화한다는 구상이다.
서비스 로봇 분야에선 성장 잠재력이 큰 돌봄 로봇, 웨어러블 로봇, 의료 로봇, 물류 로봇 등 4대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이들 로봇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1만 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물류, 의료 등 기존 규제와 충돌할 수 있는 분야에선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규제 샌드박스(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신산업·신기술에 실증 특례, 임시허가 등 규제 특례를 부여하는 제도) 적용을 추진키로 했다.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핵심 부품, 소프트웨어 국산화도 추진된다. 산업부는 부품으로는 지능형 제어기, 자율주행 센서, 스마트 그리퍼(로봇이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돕는 장치) 등 세 종을, 소프트웨어로는 플랫폼, 잡기 소프트웨어, 영상정보 처리 소프트웨어, 교감(HRI) 기술 등 네 종을 국산화 대상으로 정했다. 또 부품, 소프트웨어 제조사의 판로 확보를 위해 부품 국산화 사업을 로봇 보급사업과 연계키로 했다.
산업부는 이와 함께 로봇 기업과 자율주행차, 기계, 인공지능(AI) 기업을 연계한 '로봇 융합 얼라이언스'도 출범시킬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제조 로봇 시장을 확대하고, 뿌리, 섬유, 식·음료 등 수요산업의 구조를 고도화하는 한편,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서비스 로봇 산업도 경쟁력을 강화하여 로봇산업 4대 강국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