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지차(수소차) 공급 확대를 위해 필수인 수소충전시설 확충에 난항이 예상된다. 막대한 설치비가 들지만 시장성은 떨어지기 때문인데 정부의 통큰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유소 업계는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수소차 홍보모델’을 자처하며 수소자동차 보급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2000대 수준이던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2040년 620만 대로 늘리겠다는 내용을 담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기도 했다.
정부의 의지대로 수소차 보급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국내 수소충전소는 14곳에 불과하다.
정부도 이러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규제 개선, 설치 지원 등을 통해 수소충전소를 2022년 310곳, 2040년엔 120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내용 중 하나가 기존 주유소 내 일부 공간에 수소충전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기존 주유소들이 차량의 접근성이 좋은 도심이나 대로변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주유소 사업자들 입장에서도 수소차·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보급 확대에 따라 기존 휘발유와 경유 판매만으로는 향후 수익성을 담보하기 힘들지고 있기 때문에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정유사들 역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자사의 로고를 붙인(폴주유소) 자영 주유소 사업자들에게 수소충전시설 설치를 제안했다. 계열 직영주유소에 설치할 경우 대기업 사업자로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인주유소 사업자들의 호응은 매우 낮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엄청난 투자비용을 감당하면서까지 진출하기엔 아직 시장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판단에서다.
수소충전 시설 1기를 건설하는 데 드는 비용은 3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현재 활발히 운영되는 지방 수소충전소의 경우에도 많아 봐야 하루 20대 정도의 수소차가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유소 사업자들 입장에서는 향후 수소차 보급이 확대되더라도 관련 부지만 확보해 두면 될 뿐 급하게 충전시설을 설치해 인건비, 전기세 등을 부담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정부 지원이 된다고 해도 수소차 충전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개인사업자가 많은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수익성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며 “시장성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개인사업자보다는 자본 규모가 큰 대기업이 나서주고, 정부 지원도 더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