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노조는 성과급 산정방식 등을 둘러싼 사측과의 입장차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하나은행 노조는 옛 하나은행과 외한은행 통합 3년 만에 인사·급여·복지제도를 통합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전자는 ‘분열’, 후자는 ‘통합’을 골자로 한다. 2018년 끝자락에서 KB국민은행은 19년 만에 총파업을, 옛 하나·외환은행의 통합으로 탄생한 KEB하나은행은 제도적 통합을 앞두고 있다.
노조가 총파업 찬반 투표를 가결하면서 국민은행 노사는 내년에도 평행선을 달리게 됐다. 노사는 다툼이 필연적이지만, 국민은행은 다른 시중은행과 비교해 특히나 그 골이 깊었다. 갈등이 길어진 탓에 노조의 요구는 퇴색되고, 정작 고객들만 볼모로 잡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노조는 올초부터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과 강하게 대립했다. 1년간 노조가 요구하는 내용은 각론 차원에서 달랐지만 결국 큰 틀은 모두 ‘윤 회장의 퇴진’이었다. 지난해 윤 회장이 채용비리 사건에 연루되면서 노조의 목소리는 커졌다. 검찰이 윤 회장에 대해 불기소 처분했지만, 노조는 최근 재수사까지 요구하면서 갈등을 키우는 양상이다.
노조는 그간 은행의 영업방식이 직원에 과하다는 주장을 줄곧 해왔다. 올 7월에는 지역영업그룹 소속 직원이 업무 부담과 실적 압박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며 책임자 처벌과 제도 개선을 위한 조치를 요구했다. 제도는 은행권의 과당 경쟁으로 지목돼 온 핵심성과지표(KPI)를 말한다. 하지만 사실상 노조의 제도 개선 요구는 ‘영업’을 강조하고 취임한 윤 회장을 겨냥한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여기에 임금단체협상마저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하면서 국민은행 노조는 내년에도 ‘윤 회장의 퇴진’을 계속 주장한다는 방침이다. 27일 기준으로 노조가 이를 주장한 지 477일째다.
하지만 노조는 오랫동안 사측과 갈등을 키워왔지만, 정작 지지는 받지 못하는 모양새다. 이번 임단협에는 노사의 대립 사이에 ‘성과급 인상’ 문제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고액 연봉을 받는 은행원의 파업이 여론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대표적 이유다. 국민은행 노조도 “성과급 때문에 파업을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지만, 성과급 인상을 포기한 것은 분명 아니다. 긴 시간 다툼을 이어왔는데도 불구하고 성과급 이외의 논쟁은 가려질 수밖에 없던 셈이다. 또 노사 간의 다툼이 길어지면서 국민은행으로서도 브랜드 이미지 하락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무엇보다 국민은행을 이용하는 고객에게도 불안 요소다. 만약 내년 파업에 참여하는 직원이 많으면 최악의 경우 점포 영업이 중단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