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금융과 우리은행이 새 신탁사 인가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TB투자증권 등 중대형 증권사들도 관심을 보이면서 새로운 부동산 신탁회사 탄생 등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금융위원회는 내년 초 부동산 신탁사 3곳에 인가를 줄 방침이다. 전문가로 구성된 ‘금융산업 경쟁도 평가위원회’가 지난달 부동산신탁업에 경쟁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면서다. 다음 달 26~27일 예비인가 신청을 받는다.
부동산신탁업은 고객이 맡긴 부동산을 효율적으로 개발·관리해 그 이익을 돌려주는 종합 서비스업이다. 2009년 이후 신규 인가가 없어 총 11개사가 있다. 이들 11개사는 2012년 이후 계속 흑자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영업 수익은 5889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21.9% 늘었다.
농협금융은 이미 부동산 신탁사 인가를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막바지 준비를 하고 있다. 농협금융지주 관계자는 “은행들이 기존 예대차익만으로 수익원을 찾는 데 한계를 느끼고 있다”며 “부동산 리츠는 모든 금융회사의 관심사”라고 했다. 부동산신탁업은 은행과 달리 ‘개발신탁’이 가능하다. 시행사처럼 토지를 신탁받아 개발한 뒤 분양하는 방식이다.
올해 지주사 전환을 앞둔 우리은행도 부동산신탁사업은 큰 관심사다. 지주사로 전환하면 은행에 쏠려 있는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장 대형 증권사나 보험사보단 규모는 작지만, 수익성 높은 자산운용사와 부동산신탁사를 눈여겨보고 있다.
현재 우리은행은 신규 인가와 지주사 전환 뒤 중소형 부동산신탁사 인수합병(M&A) 안 가운데 저울질하고 있다. 다만 신규 인가보다 기존 부동산신탁사 M&A에 무게가 실린다. 지주사로 전환하자마자 새로운 계열사를 만들어 처음부터 키워 나가는 게 부담일 수 있다. 우리은행의 한 임원은 “일단 지주사 전환을 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며 “부동산신탁사도 시장에 어떤 형태로 매물이 나오는지 볼 것”이라고 했다.
금융회사에 부동산신탁 시장은 ‘노다지’로 불린다. 수익성이 높고 정부가 가계대출을 옥죄는 상황에서 새로운 영업을 할 기회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시장도 급성장했다. KB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는 이미 부동산신탁업을 보유하고 있다. 신한금융지주는 업계 6위인 아시아신탁 지분 60%를 인수하려는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