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혁신성장 금융생태계 추진현황 점검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는 기업의 혁신성장을 적극 지원하는 ‘생산적 금융’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이 손쉽게 창업하고, 시행창오를 겪더라도 재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벤처·중소기업 금융은 정부 재정과 정책자금에 의존했고 민간 시장의 참여는 저조했다. 2016년 GDP 대비 중소기업 대출 정책보증 비중은 3.84%로, 미국(0.16%), 이탈리아(0.99%) 등 다른 나라에 비해 크게 높다. 벤처투자 영역도 마찬가지다. 2015년 기준 벤처펀드 가운데 정책자금 비중은 한국이 46%로, 미국(12%)이나 유럽(21%)의 2~4배에 이른다.
금융위 목표는 기업의 창업과 성장, 회수, 재도전에 충분한 규모와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다. 성장지원펀드가 대표적인 예다. 이 펀드는 정부 재정과 민간 자금을 연결해 성장 단계의 벤처·중견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조성됐다. 데스밸리를 넘어선 창업기업 추가 성장에 자금을 지원한다. 올해 재정 1700억 원을 활용해 후순위 출자 제공 등 민간자금도 적극적으로 끌어들인다.
혁신성장 핵심 과제는 크게 창업과 성장, 투자자금 회수 등 3가지다. 우선 2020년까지 마포 청년혁신타운을 조성해 창업 인프라를 구축한다. 혁신기업에 자금을 대는 성장지원펀드 역시 올해 안에 3조700억 원을 마련한다. 코스닥·벤처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역시 7월까지 약 3조 원을 조성했다.
금융위는 지난달 성장지원펀드 운용사 선정을 끝냈다. 운용사는 △중견리그(아이엠엠인베스트먼트, 큐캐피탈파트너스, 프리미어파트너스) △성장리그(신영증권·우리프라이빗에퀴티, 아주아이비투자, NH투자증권, SBI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코스톤아시아) △벤처리그(DSC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지앤텍벤처투자, KTB네트워크, 플래티넘기술투자) △루키리그 (메티스톤에퀴티파트너스, 뮤렉스파트너스, 이상파트너스) 등 18개다. 펀드와 함께 시중은행이 스타트업과 벤처·중견 기업에 4년 동안 20조 원 상당의 대출을 공급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이날 “기업 주기 전반에 자금이 적시에 공급되고 회수·재투자하는 금융생태계가 필요하다”며 “특히 민간의 창의와 자율을 적극 발휘해 민간이 주도하는 금융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