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진,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지만, 앞으로도 국내경제는 지난 4월에 본 전망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4월 전망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을 3.0%로 예상한 바 있다. 결국 작년 3.1%에 이어 올해도 3%대 성장세가 가능하다고 본 셈이다.
이는 지난달 17일 임지원 신임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임명장 전달식에 참석해 밝힌 “대내외여건이 만만치 않아 앞으로의 경제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언급과는 달라진 톤이다. 당시 이 총재의 발언으로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한은 금리인상이 상당기간 미뤄질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렸었다. 일각에서는 연내 금리인상이 없을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었다.
구조개혁도 강조하고 나섰다. 이 총재는 “고용부진은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같은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고, 자본 및 기술집약적 산업 등 특정 부문에 크게 의존하는 성장은 외부충격에 대한 복원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소득에 비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가계부채도 소비를 제약할 소지가 있다”며 “국내외 경제가 성장세를 보일 때 구조개혁이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경기를 보는 시각이 바뀌면서 금리인상의 불씨도 되살리는 분위기다. 이 총재는 “금융불균형이 커질 수 있는 점, 그리고 보다 긴 안목에서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통화정책 운용 여력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것”이라며 “성장과 물가의 흐름,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와 그에 따른 금융안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다만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아직 크지 않다”며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고 부연했다.
최근 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에서 겪는 금융·외환시장 불안이 우리나라에 전이될 가능성은 사실상 낮다고 봤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는 대외건전성이 양호하다. 때문에 이들(일부 신흥국) 국가의 금융불안이 전이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해외 리스크 요인들이 함께 현재화될 경우 파급효과의 향방을 가늠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그는 올 하반기 이후 역점 추진 사항으로 내년 이후 적용할 물가안정목표 점검, 정책 커뮤니케이션 유효성 제고 노력 강화, 분산원장기술 및 핀테크 등 디지털혁신,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북한경제 연구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