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5개국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바라는 1순위 직업이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대학 졸업 때까지가 적정 시점이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1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영유아 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Ⅲ)-국제비교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5세 자녀를 둔 서울 거주 부모 316명 중 응답자의 58.7%가 자녀의 희망직업으로 전문직을 꼽았다.
그 뒤를 예술가·체육인·연예인(10.9%), 교직(9.9%), 사무직·기술직(8.0%) 순으로 이었다.
전문직을 선호하는 분위기는 다른 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일본 동경, 대만 타이베이, 미국 뉴욕, 핀란드 헬싱키에서 부모 300명씩을 조사한 결과, 4개국 모두 전문직을 1순위로 꼽았다.
2순위는 우리나라에서 예술가·체육인·연예인인 것과 달리 일본과 대만은 사무직·기술직, 미국과 핀란드는 경영관리직이었다.
자녀에 대한 정서적 지원을 어느 시기까지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우리나라 부모 48.4%는 ‘평생 동안’이라고 답했으며, ‘결혼 때까지’(18.4%), ‘대학 졸업 때까지’(12.0%)라는 응답이 많았다.
정서적 지원을 평생 해야 한다는 응답은 우리나라보다 다른 나라에서 월등히 높았다. 핀란드(95.8%), 미국(90.9%), 대만(90.7%)의 경우 응답률이 90%를 넘었고, 일본도 63.8%로 우리보다 높았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시기에 대해선 우리나라 부모가 ‘대학 졸업할 때까지’(47.5%), ‘취업할 때까지’(19.3%), ‘대학 입학 전까지’(12.3%), ‘결혼할 때까지’(11.7%), ‘결혼 후 기반이 마련될 때까지’(7.6%), ‘평생 동안’(1.3%) 순으로 답했다.
일본(54.8%), 대만(44.9%), 미국(34.6%)에서도 ‘대학 졸업할 때까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핀란드는 ‘취업할 때까지’라는 응답이 53.8%로 가장 많았다.
평생 경제적으로 지원한다는 응답은 아시아 국가인 일본(2.5%), 대만(5.6%)에서는 적게 나타났지만, 미국(23.2%)과 핀란드(25.5%)는 5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5개국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기대는 대동소이하지만 한국은 자녀에 대한 정서적, 경제적 지원 기간을 ‘평생 동안’으로 보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 가족에 대한 가치 인식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