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같은 대규모 투자로 일자리 창출 등 한국 경제의 활력이 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는 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전략 발표 및 상생발전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이 위원장을,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과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상생발전위원회는 소자·패널 대기업, 소재·부품·장비 기업, 대학 등 전문가 20명으로 꾸려졌다.
이 자리에서 삼성과 SK, LG는 민간기업으로는 건국 이래 최대 규모인 총 110조4000억 원을 투자하는 안을 공개했다.
지난해 7월 가동을 시작한 평택공장(NAND) 제1 생산라인에 2021년까지 14조4000억 원 추가 투입 계획을 세운 삼성전자는 7일 이사회 산하 경영위원회에서 제2 생산설비 건설을 위한 기초 골조 건설 투자 안건을 의결했다. 제1라인 투자액이 30조 원인 점을 고려할 때 제2라인에도 30조 원 규모의 투자가 예상된다. 이 경우 평택에만 총 44조4000억 원이 추가로 투입된다. 삼성전자는 화성공장(AP)에도 6조 원을 투입하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천안공장(OLED)에 14조 원을 투자한다.
SK하이닉스는 청주공장(NAND)에 15조5000억 원, 이천 공장(품목 미정)에 15조5000억 원을 각각 투자한다. LG디스플레이도 파주·구미공장(OLED)에 15조 원을 투입하는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총 110조4000억 원을 쏟아붓는다. 이 같은 대대적 투자는 ‘일자리 창출→소득 증대→소비 확대→기업 매출 증가→투자 확대’의 선순환 흐름을 만들어 한국경제에 활력이 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산업부는 ‘갭(GAP) 5 전략’을 골자로 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고, 미래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획기적 기술을 개발키로 했다. ‘갭(GAP) 5 전략’은 기술 격차를 후발국과는 5년 유지, 선진국과는 5년 극복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반도체 장비와 소재 국산화율 각각 30%, 70% △디스플레이 장비와 소재 국산화율은 각각 80%, 50%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백 장관은 “4차 산업혁명 등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으니 업계가 선제적으로 대응해 달라”며 “정부도 미래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