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창업비중이 5년만에 두 배가 넘는 격차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활성화는 기존 성장전략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다는 점, 청년층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인식제고와 제도완화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국의 신설기업수는 2012년 193만개에서 지난해(2017년 1~9월 기준) 451만개로 늘어 우리나라 창업기업 수 대비 60배에 달했다. 벤처투자 규모는 27배였다. 설립 후 1년 이내 생존율도 70% 내외로 60%대 초반인 우리나라보다 높았다.
특히 기업가치 10억달러를 초과하는 스타트업을 의미하는 ‘유니콘 기업’은 중국이 59개로 미국(108개)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전세계 217개 유니콘 기업 중 우리나라에는 2개밖에 없다.
중국의 이같은 창업 증가는 △전자상거래의 빠른 증가 △창업 생태계 구축 △정부의 적극적 지원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우선 2016년 현재 중국의 인터넷쇼핑 구매자수는 4억7000만명, 인터넷 사용자 중 연간 1회 이상 온라인쇼핑으로 물품을 구매한 사람의 비중을 의미하는 침투율은 63.9%에 달한다. 이에 따라 중국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세계의 39.2%에 달한다.
우수한 창업여건과 알리바바의 마윈, 디디추싱의 청웨이, ofo의 다이웨이 등 창업에 성공한 많은 역할모델, 높은 사회적 인식 등 창업 생태계도 양호하다.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평가에서 베이징과 상하이는 각각 4위와 8위를 차지했다. 교육비 지출액과 연구개발(R&D) 지출액 등 81개 양적·질적 지표를 사용해 산출한 글로벌 혁신지수도 2013년 35위(44.7)에서 지난해 22위(52.5)를 기록해 선진국 수준에 빠르게 근접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지원도 다양하다. 행정 절차 및 비용의 경감·폐지는 물론, 세금 감면, 임대료 보조,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을 시행하고 있다.
반면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과도한 경쟁과 투자 양극화, 중국 3대 IT기업인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중심의 생태계, 증가하는 창업비용 등은 문제점이면서도 중국이 풀어야할 향후 과제로 꼽았다. 하지만 이같은 창업 활성화는 중고속 성장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한은 관계자는 “중국은 실패를 용인해주고 벤처투자에 실패해도 창업자부담이 크게 없다. 1년안에 창업이 가능하도록 규제완화로 길을 열어놓는 등 제도적으로도 많이 다른 것 같다”며 “우리나라도 벤처투자 활성화, 교육프로그램 확대, 정부지원 강화 등으로 자생적 생태계를 구축하고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