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상대로 한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경제 보복의 빗장이 풀렸지만,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역직구’에서는 여전히 우려감이 형성되고 있다.
12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서 발표한 ‘사드 갈등이 남긴 교훈, 대중국 수출 전략 어떻게 변해야 하나?’ 보고서에 따르면 정품 신뢰도가 높고, 한류 열풍에 힘입어 중국의 한국 제품 온라인 역직구(온라인 직접판매) 규모는 최근 2년간 매년 100% 이상 증가하는 실적을 올렸다. 하지만 2016년 상반기 우리 정부가 사드 배치를 공식화한 이후 증가세가 크게 둔화한 모습이다.
중국 역직구 시장 규모는 2011년 1500억 위안, 2013년 4500억 위안, 2015년 9000억 위안으로 100% 넘는 증가세를 이어오다 지난해 1조2000억 위안으로 50%대로 떨어졌다. 올해는 1조8453억 위안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중국 당국이 검수 검역을 강화하고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도 일부 물류배송 방식을 중단하면서 상품 주문 취소로 역직구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10월 31일 사드 문제와 관련된 양국관계 개선 방안에 관한 발표에 이어 11월 12일 한·중 정상 간 회담을 통해 사드 갈등이 해소되는 분위기가 형성됐지만, 지난해 4월부터 시행되려다 유예된 바 있는 ‘행우세’ 폐지 가능성이 남아 있어 온라인 역직구 시장의 전망을 어둡게 했다.
행우세는 해외 직구 형태로 수입된 상품에 대해 품목별로 100∼500위안 이하에 대해 면세 혜택을 주는 것으로 올해 12월까지 폐지가 유예됐다.
중국의 규제 강화는 당장 소규모 가전 업계나 화장품, 유아용품 업계 등에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5년간(2012∼2016년) 연평균 188.2%의 고성장을 거듭하던 화장품은 사드 갈등 이후 16.4%의 두 자릿 수 증가율에 그쳤다.
조빛나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라고 불리는 광군제(11월 11일)에 중국의 2대 온라인 쇼핑몰인 알리바바의 T몰과 징둥 합산 거래액이 2953억 위안(49조500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난다”며 “광군제 온라인 거래의 90%가 모바일을 통해 이뤄지고 있어 우리 기업들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