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에서 개인이 드론(무인비행기)을 타고 출퇴근을 하고 서로 분리·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누빈다. 자율운반 차량이 사람의 도움 없이 택배를 스스로 운반하고, 고층 시공 현장에서는 건설로봇 드론이 로봇팔로 건물을 쌓아올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7일 발표한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 속 2030년 대한민국의 모습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무인이동체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 관련 핵심기술 개발에 내년 120억 원을 포함해 향후 10년간에 걸쳐 5500억 원을 들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무인이동체 분야 기술경쟁력을 세계 3위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시장점유율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9만2000개의 일자리 창출, 160억 달러의 수출 증대 효과도 함께 기대하고 있다.
스스로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해 작업을 수행하는 드론·자율주행차 등 무인이동체는 연평균 16%씩 성장할 정도로 유망하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최첨단 ICT기술들이 집약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분야로 손꼽힌다. 최근 인텔이 자율차 센서 분야의 최고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 기업 모빌아이를 153억 달러(약 17조 원)에 인수하는 등 글로벌 기업들도 무인이동체 핵심기술 확보 경쟁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국내 무인이동체 시장엔 영세한 중소벤처기업이 대부분이고 원천 기술력은 세계 최고 기술력의 60% 수준, 시장점유율은 3%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우선 육·해·공 무인이동체가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탐지·인식 △통신 △자율지능 △동력원·이동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등을 ‘6대 공통 핵심 기능기술’로 정해 집중 개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무인이동체 시장에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5개 분야(극한환경형·근린생활형·전문작업형·자율협력형·융복합형 등)를 선정해 이에 맞는 플랫폼도 발굴한다. 이러한 청사진이 실현되면 장기운용 수중·지하공간 탐색 육상 무인이동체(개발목표 연도 2027년), 배송용 드로이드(2023년), 통근용 개인드론(2024년), 로봇드론(2026년), 전문작업 육상 무인이동체(2027년), 심해작업 무인잠수정(2027년), 농업용 군집 무인이동체(2024년), 무인선-무인잠수정 복합체(2028년), 잠수가능 무인기(2029년) 등을 우리나라에서도 만나볼 수 있게 된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번 로드맵은 기술과 제품으로 구현하는 차세대 무인이동체에 대한 상세한 풀 스케일의 종합기술개발 설계도”라면서 “6대 공통 핵심 기능기술과 5대 용도별 플랫폼을 통해 기존 무인이동체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신개념의 무인이동체를 출시해 차세대 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