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제성장률이 내년까지 3%대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국내외 주요 경제기관들로부터 잇달아 나오고 있다. 반도체 업종의 수출 회복세가 다른 업종들로 확산되고, 내수 소비까지 온기가 퍼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29일 국내외 주요 경제기관들에 따르면 한국 경제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3%대 경제성장률이 가능하다는 관측이다.
이날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국내경제브리프를 통해 올해 3.2%, 내년 3.0%의 성장률을 제시했다. 연구소는 올해보다 내년에 민간소비가 살아나고 수출과 투자 증가세도 견조하게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3.2%, 내년 3.0%의 성장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전망과 동일한 수치다. OECD는 전날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끌어올렸다. 앞서 6월 보고서에서 올해 2.6%, 내년 2.8%를 제시했던 OECD는 이번에 각각 0.6%포인트, 0.2%포인트 상향한 것이다.
전망치를 올린 근거로는 반도체 업황 호조에 따른 수출 개선과 기업투자 증가 등에 힘입은 경기 회복세를 들었다. 내년에는 건설투자 둔화에도 불구하고 세계 교역 회복과 확장적 재정정책 등에 힘입어 3% 수준의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관측했다.
OECD는 “반도체 등 주력 업종에서 확산된 보다 광범위한 수출 회복세, 향후 정부 혁신 성장 정책의 성과 등은 상방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임금비용 증가, 법인세 인상 등에 따른 투자 둔화, 지정학적 긴장 등은 하방 리스크”라고 지목했다.
또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은 물가 및 가계부채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생산성 제고를 위한 상품시장 및 노동시장 구조개혁 병행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OECD까지 합류하면서 내년 우리 경제의 3%대 성장 전망에는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달 중순 연례협의 결과 발표에서 “한국의 내년 성장률은 큰 폭의 최저임금 상승과 고용 및 사회복지 지출을 지원하는 정책들에 힘입은 민간소비 증가로 인해 3.0%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IMF는 “수출은 글로벌 무역 호황에 따라 수혜를 입을 것”이라며 “가계부채는 중요한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이지만, 거시건전성 정책들이 현재까지는 금융안정 관련 도전 과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기획재정부와 산업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등도 내년 우리 경제가 3.0%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행은 2.9%, 한국금융연구원은 2.8%, 한국경제연구원은 2.7%를 각각 제시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5%로 가장 보수적인 수치를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