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R&D 사업에 연간 수조 원의 혈세가 투입되지만 결과물의 사업화를 통한 실질적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은 17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R&D 전담기관 대상 국정감사에서 “정책 지원과 투자를 통해 매년 기술이전 건수는 늘어나는데 정작 건당 기술료는 낮아지고 있다”며 “국가 R&D 결과물의 사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곽 의원에 따르면 2017년도 정부 R&D 투자 금액은 약 19조4000억 원으로, 최근 5년(2012~2017년)간 연평균 7.9%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중(2014년 기준)도 우리나라가 4.3%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스라엘(4.1%), 일본(3.6%), 독일(2.8%), 미국(2.7%)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문제는 전체 국가 R&D 대비 기술이전 사업화 비중은 1.9%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기술이전 건수는 2010년 4259건에서 2012년 6676건, 2014년 8524건, 2015년 1만1614건으로 2010년 대비 약 2.7배 증가했지만, 질적 성과를 나타내는 건당 기술료는 2010년 2900만 원, 2012년 2500만 원, 2014년 1600만 원, 2015년 1700만 원으로 2010년 대비 41.4%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성이 부족하다 보니 R&D 기술이 저평가되고 기술가치가 낮아져 결국 기술료도 낮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산업부의 R&D 기술개발 목표 달성률은 80~90% 수준이지만, 산업부의 R&D 과제 사업화 성공률(2015년)은 38.1%에 불과하다.
선진국의 R&D 사업화 성공률은 미국 69.3%, 일본 54.1%, 영국 70.7% 등으로 우리보다 2~3배 높다.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출연금 대비 사업화포기율은 대기업이 15.7%로 중소·중견기업(7.0%)의 두 배가 넘었다. 사업화매출액 대비 고용 현황도 10억 원당 대기업 0.15명, 중소·중견기업 0.8명으로 사업화매출액이 고용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의원은 “국가 R&D의 52.6%가 기술 개발과 국방 분야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사업화 성과가 매우 저조한 실정”이라며 “혁신적인 R&D 성과물이 상용화될 때 신산업과 신시장, 신규고용이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재훈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은 “국가 R&D 예산은 수조 원이지만, 기술사업화 관련 예산인 R&D 예산은 전 부처 통틀어 3400억 원 정도 있다”면서 “사업화 촉진을 위해 22개 기술진흥기관이 협의체를 만들었지만,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기술사업화 관련 예산의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