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혁신 성장론’을 재차 역설하면서 대기업을 중요한 축으로 언급했다. 또 한국 경제의 복병으로 부각된 미국과 중국의 대외리스크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16일 기재부에 따르면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와 2017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으로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김 부총리는 이달 13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혁신성장에서 대기업 역할을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대기업도 혁신성장의 중요한 축”이라며 “공정경쟁 기반 위에 대기업이 마음껏 국제 경쟁력을 갖출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부총리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이 많이 언급되며 대기업 관련 메시지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며 “앞으로 (대기업에) 기운을 주는 메시지를 많이 내보내겠다”고 역설했다.
미국 재무부가 조만간 의회에 제출하는 환율보고서와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했다.
김 부총리는 “한국은 환율 조작을 하지 않으므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면서도 “끝까지 최선을 다해 우리 입장을 설명할 생각”이라고 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과 관련해서는 상호 간 이익이 균형되는 방향으로 협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김 부총리는 “상품 교역 수지는 우리가 흑자를 보고 있지만 올해는 흑자 폭도 줄었고 서비스나 자본수지는 우리가 적자이며 상호 투자에서도 우리가 미국보다 더 투자하고 있다”며 “이런 점을 이용해 미국과 상호 간 이익 균형이 되는 방향에서 잘 협의를 하는 것이 정부의 기본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총리는 “모든 이론적 시나리오가 가능하므로 폐기라는 극단적인 가능성도 아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양국이 협상을 통해 합의점과 타결점을 찾아야 한다”며 “부처 간 의견 조율 과정이 중요한데 그 역할을 기재부가 하겠다. 절차에 있어서는 국민에게 명명백백하게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달 10일 만기가 끝난 3600억 위안(약 560억 달러) 규모의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와 관련해서도 한마디 했다.
김 부총리는 “국제금융시장 안전판이며 경제협력 상징이자 수단이기도 한 스와프 협정이 연장됐다는 자체가 한국 경제에 주는 좋은 신호”라며 “무역업자들도 평상시 스와프 자금을 쓸 수 있어 교역 협력 수준을 높인다는 면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더욱이 김 부총리는 중국이 이번 통화스와프 재연장과 관련 이면요구나 반대급부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이어 김 부총리는 김용 세계은행(WB) 총재를 만나 한국사무소를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허브 사무소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또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사업이 더 확대되도록 중점분야를 7개에서 11개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역시 MOU를 맺었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관계자와 연쇄 회동에서는 북핵 리스크가 주요 화두였다.
김 부총리는 “신용평가사들이 물어본 여러 질문 중 대부분 첫 번째가 ‘북핵·김정은 리스크’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부분이었다”며 “신용평가사들은 한국시장의 건실한 기반, 정부의 대응, 국제적 공조 등이 작용해 북핵 리스크가 시장에 아주 제한적 영향을 미치고 앞으로 안정적 관리가 가능하다는 생각을 대체로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