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온라인 광고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구글이 작년 미국 대선 당시 러시아 정부와 연계된 단체의 광고를 게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페이스북에 이어 구글에까지 러시아 정부의 영향력이 뻗어나갔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소식통은 “러시아 정부와 관련한 요원들은 미 대선을 방해하고자 유튜브, 구글 검색 엔진, 지메일 등에 거짓 정보가 담긴 정치 광고를 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정부와 연계된 계정으로 집행된 광고비 규모는 4700달러(약 538만 원)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또 구글은 러시아 정부와 연관이 있는 단체의 5만3000달러 규모의 광고를 게재했다. 이는 구글 측의 자체 조사 결과 드러난 사실이다. 지난 미국 대선 때 러시아가 IT 기업의 플랫폼을 이용해 대규모 광고를 했다는 의혹이 일자 구글은 자체 조사에 나섰다.
앞서 페이스북은 지난해 대선 기간에 러시아가 약 10만 달러의 광고 지출비를 페이스북에 썼다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러시아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는 단체가 3000개의 광고를 구매했다”고 말했다. 페이스북은 1000만 명의 사용자가 광고를 보았을 것으로 추정했으나 컬럼비아대학 저널리즘 연구소의 조나단 올브라이트 연구원은 러시아가 구매한 광고를 본 사용자들은 수억 명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 상·하원 정보위원회는 내달 1일 러시아의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해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이 청문회에 출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참석 의사를 밝혔으나 구글은 답하지 않았다.
구글은 이날 성명에서 “우리는 특정한 정치적 성향, 종교, 인종을 타겟으로 한 광고 게재를 금지하고 있다”며 “우리의 광고 시스템을 더 깊이 들여다볼 것이며 다른 업체, 연구자들과 조사에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가 IT 기업들을 이용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자 온라인의 정치 광고를 규제해야 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의 에이미 클로버샤 상원 의원은 “정치 광고가 온라인에 게재될 때 누가 광고를 샀는지 알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외국에 정보 요원들은 우리 법의 허점을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클로버샤와 함께 민주당의 마크 워너 상원의원도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 등 디지털 미디어 업체가 정치 광고를 할 때 관련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하는 법안을 마련 중이다. 현재 미국에서 TV, 라디오 광고는 누가 얼마나 많은 돈을 지출했는지 기록에 남겨야 하는 법적인 의무가 있지만, 온라인 광고는 사기업의 사업 영역으로 간주해 기록을 남겨야 할 의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