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한·중 정상 간 통화, 이해찬 중국 특사 파견 등으로 양국 관계가 개선 기미를 보이고는 있지만, 아직 뚜렷한 변화를 체감하지는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 7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 결정 당시 중국과의 관계 악화 우려가 나왔음에도 정부가 ‘근거 없는’ 낙관론을 펼친 데에 따른 불신감 때문이다.
최근 언론과 업계 일각에서는 중국 롯데마트가 두 달여 만에 홈페이지를 재가동하고, 해킹 공격을 받았던 롯데면세점의 중문 홈페이지도 정상으로 돌아오자 앞다퉈 한한령 해빙 무드를 조성했다. 아직 영업정지는 풀리지 않았지만, 고압적이었던 중국 측 태도가 많이 누그러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한한령 해제의 기대감이 아직은 호들갑에 불과한 수준이다. 중국의 4대 명절 중 하나인 단오절(28 ~ 30일)에 유커(游客·중국인 관광객) 특수는 한국을 비켜갔다. 이번 단오절 연휴 기간 중 해외로 나간 중국인 여행객은 1600여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한국은 인기 여행지 명단에서 빠졌다. 중국 노동절 연휴(4월 29일 ~ 5월 1일)에도 한국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순위에 들지 못했다. 한·중 관계 개선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지만, 아직 국내 관광 시장의 체감 기류는 여전히 싸늘하다.
사드 보복 완화 분위기는 일단 반가운 일이지만, 섣불리 기대감만 높이는 것은 관련업계 상인들에게 희망고문일 수 있다. A 씨는 “사드 사태 당시 중국의 보복 조치는 없을 것이란 정부의 말을 믿었는데 속절없이 당했다”며 “반 토막 난 매출은 누가 보상해 주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한한령이 계속될 경우 국내 피해가 최대 15조 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온 만큼 정부가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실질적인 대응에 나서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