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애초 계획보다 앞당겨 자본 확충을 추진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연내 최소 1900억 원 규모의 증자를 진행하고, 내년 상반기에 추가로 수백억 원의 필요 자본을 늘리는 방안을 확정했다.
지난달 3일 출범한 케이뱅크는 초기 자본금 2500억 원 중 시스템 구축이나 인건비 등으로 절반 이상을 사용했다.
금융권은 케이뱅크가 원활한 대출 업무를 위해 2~3년 내에 2500억 원 이상의 자본이 더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케이뱅크가 자본 확충을 서두는 이유는 영업 개시 이후 대출 성장세가 예상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케이뱅크는 출범 45일 만인 지난 17일 기준 여신액이 3100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목표인 4000억 원의 77%를 넘어선 셈이다. 예·적금 등 수신액도 목표(5000억 원) 대비 76%인 3800억 원을 기록했다.
여신액을 충당할 수 있는 수신액이 함께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케이뱅크의 자본 확충은 시급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올 하반기에 주택담보대출과 소호(SOHO)대출 등이 출시되면 시중은행보다 낮은 금리가 강점인 만큼 대출 수요가 더 몰릴 가능성이 높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대출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자본력이 필요하다”며 “은산분리 완화 이슈가 조속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자본 확충의 최대 현안은 모든 주주의 동의를 얻는 것”이라며 “실권주에 대한 처리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케이뱅크는 설립 당시 주력 사업자인 KT를 비롯해 우리은행, 한화생명, GS리테일 등 모두 21곳이 주주로 참여했다. 이 중 8%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곳은 6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주주들이 1~3%의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만약 케이뱅크가 지금 유상증자에 나선다면 모든 주주가 지분율에 따라 출자를 해야 한다. 절반이 훌쩍 넘는 소액 주주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케이뱅크가 자본 확충을 매끄럽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은산분리 완화가 필수적이다.
국회에는 2건의 은행법 개정안과 3건의 특례법 제정안이 발의됐지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계류 중이다.
특히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재벌의 사금고화를 방지하기 위해 은산분리 완화를 원칙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만큼 관련 법 재·개정이 요원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에 한해 은산분리를 완화하는 특례법 제정을 국회에 지속해서 건의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현재로선 은행법 개정보다 특례법 제정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위원장이 부임하면 우선 과제로 은산분리 완화에 대해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6월 임시국회는 인사청문회 등이 있어 관련법 통과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