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부터 5년간 8조 원 규모의 ‘기업 구조조정 펀드’가 조성된다. 최근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에 있어 국책은행과 채권은행 주도 방식이 한계를 드러내자, 정부가 사모펀드(PEF)를 활용하는 보완책을 내놓은 것이다. 하지만 펀드의 규모가 작아 대우조선해양과 같은 덩치가 큰 부실 대기업을 인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온다.
13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신(新)기업구조조정 방안’에 따르면 8조 원 규모의 기업 구조조정 펀드가 하반기 조성된다. 이 펀드는 정책금융기관과 연기금, 연합자산관리(유암코), 시중은행 등이 4조 원을 출자한 모(母)펀드와 민간 운용사들이 구성하는 자(子)펀드(기업재무안정 PEF)로 구성된다.
운용사들이 구조조정 기업을 인수할 자펀드를 조성해 오면 모펀드가 자펀드 약정액의 50% 내에서 함께 출자해 주는 구조다. 금융위는 우선 올해 말까지 2조 원 규모(모·자 펀드 각 1조 원)로 조성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기업 구조조정 펀드를 앞으로 5년간 조성하는데, 모펀드는 한국성장금융이 운용을 맡고 향후 구조조정에 전문성이 있는 기관을 자펀드로 선정한다.
현재 국내 기업구조조정은 대부분 채권은행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채권은행들이 채권매각 공고 전에는 워크아웃 기업에 대한 현황을 공개하지 않아 매수 희망자가 선제적으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발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 기업 구조조정에 참여하는 45개의 기업재무안정 PEF가 운용되고 있지만 평균 약정액이 869억 원 수준으로 45개 펀드를 모두 합쳐도 지난해 말 기준 5조2000억 원에 그치는 등 규모가 작아 구조조정 채권 인수, 투자자 모집 등에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를 보완하고자 대안으로 기업 구조조정 펀드를 내놓았지만 민간주도 구조조정 펀드의 성공에 대해 의문을 갖는 시각이 적지 않다. PEF를 통한 성공적 기업 구조조정 사례가 부족해 투자자 모집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동안 유암코가 기업구조조정과 관련해 투자한 사례로는 ‘세하’ 한 곳 정도 꼽힐 정도로 실적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구조조정은 시장과 채권단에게만 맡기기엔 이해관계 조율이 너무 어려운데다 그 과정에서 제한이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8조 원이란 펀드의 규모가 작아 대우조선과 같은 부실 대기업을 인수하는데 한계가 있어 당장 펀드 규모부터 더 확대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을 위해선 채권을 갖고 있는 모든 채권은행과 협상해 채권은행의 대출채권을 모두 사들여 경영권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각 채권은행과 의견조율을 거쳐야 하는데, 구조조정 과정에서 채권은행별 이해관계 조율이 말처럼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