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미국과의 새로운 무역협정 협상 가능성을 예견해 통상협상 총괄 조직을 출범시키기로 했다. 재계에서는 일본 산업계의 간판인 도요타자동차가 미국 인디애나 공장에 6억 달러(약 7017억원)를 투자해 생산 능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23일 다자간 무역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공식 선언하고, 일본을 지목해 무역이 불공평하다고 비판하자 상황이 다급해진 것이다.
일본 정부는 미국과의 양자 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조만간 현실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TPP 대책 본부를 개편하고 TPP와 함께 대미 협상과 유럽연합(EU)과의 경제동반자협정(EPA) 협상 등 통상협상 전반을 총괄하는 조직을 설립해 대응키로 했다. 다만 일본은 자동차 협상과 양자 간 FTA 협상은 분리해서 대응할 방침이다. 미국과 FTA 협상을 하면 농산물 등에서 불리한 조건을 강요당할 것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신중하게 대처하겠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연간 약 700억 달러 규모에 이르는 미국의 대일 무역적자를 문제삼고 있다. 이 중 자동차 분야의 대일 무역적자는 전체의 약 70%다. 트럼프가 전날 기업 경영자들과의 조찬 회동에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불공정 무역을 지적한 것도 치밀하게 계산된 발언이었던 셈이다.
트럼프의 보호주의에 전 세계가 불안에 떠는 가운데 일본이 특히 예민하게 나오는 건 1980년대의 트라우마 때문이다. 일본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미국과 심한 무역마찰을 경험했다. 당시 오일쇼크와 달러 강세의 여파로 미국 시장에서 수입차들이 판을 치자, 미국 자동차 대기업 3사가 ‘일본 위협론’에 불을 붙였다. 미국이 일본 측에 외교 압력을 행사했으나 미국 차업계의 상황은 악화일로였다. 이에 1980년, 강성인 전미자동차노조(UAW)가 ‘통상법 201조’에 근거해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일본차 수입 제한을 요구하고 나서자, 당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보호주의색이 짙은 자동차산업 재건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일본은 울며 겨자먹기로 대미 수출 물량을 연 168만 대로 제한하는 수출자율규제조치를 결정했다. 이 규제는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인 1994년까지 13년간 계속됐다.
이후 미국 자동차 업계가 되살아나면서 일본 자동차 기업들도 미국에서 숨통이 트이기 시작했다. 1984년 도요타와 제너럴모터스(GM)가 합작 설립한 NUMMI(누미) 공장은 양국 협력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양국의 무역 마찰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었다. 미국이 현지에서 생산하는 일본 차업체의 미국산 부품 조달 물량이 적다고 문제삼자 일본 정부는 다시 자국 기업들에 협력을 구해야 했다.
트럼프 정권이 들어서면서 당시의 상황이 재연되고 있다. 일본은 친일파인 윌버 로스가 상무장관에 지명되면서 미일 무역 마찰의 완충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완전히 빗나갔다. 이번에도 도요타가 총대를 메게 됐다. 도요타는 24일 6억 달러를 들여 미국 인디애나 공장의 연간 생산력을 5만대 가량 확대하고, 400명도 추가로 고용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도요타는 이 공장에서 5000명을 고용하고 있고, 40만 대의 생산력을 갖추고 있는데 여기서 더욱 확대한다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는 취임 전인 5일, 도요타의 멕시코 투자를 비판했다. 그러자 도요타는 나흘 뒤인 9일에 향후 5년간 미국에서 100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을 발표했다. 이날 인디애나 공장 투자 발표는 이 계획의 일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