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부터 국가 에너지 수급 체계를 친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에너지정책 정례브리핑을 통해 에너지의 안정적 수급 기반하에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자 후생을 극대화하는 에너지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에너지신산업 수출 산업화를 통해 신재생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신재생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운영ㆍ유지보수’ 형태의 결합 비즈니스 모델을 정착시켜 단품 위주 수출 한계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공기업ㆍ제조업ㆍ금융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신규 사업을 활성화해 올해 75억 달러의 수출 실적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수립과 석탄발전 환경설비 보강 등 친환경 발전을 위해 2030년까지 11조6000억 원을 투입한다. 올해 투자비는 1951억 원 규모다.
국제컨설팅을 통한 전기구입비 연동제 도입을 추진하고, 신재생 전력 직접 판매와 중개서비스를 허용하는 내용의 전기사업법 개정도 병행 추진한다.
향후 계절별ㆍ시간대별 전기요금을 위한 스마트미터 보급도 올해 450만기를 구축하고, 당초 목표보다 2년 앞당겨 2020년까지 2200만 전기소비자 모두에게 보급을 완료할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주택 태양광을 8만8000가구에 보급하고, 2020년까지 총 70만 가구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학교 태양광의 경우 올해 653개교에 보급하고, 2020년까지 총 3900개교에 보급한다는 목표다. 농촌 태양광 역시 올해 1000호를, 2020년까지 1만 호를 보급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연구개발(R&D) 지원 체계를 재편키로 했다. 올해 7631억 원의 예산을 배정해 신재생ㆍESSㆍ수요관리 등 청정에너지 분야에 집중 지원한다.
태양광ㆍ풍력 R&D에 2038억 원, 전기차ㆍ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실증에 1813억 원, ESS 해외실증 등에 437억 원을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청정에너지 기술 혁신을 가속화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국내 보급이 확대되고 ESS 등 신산업의 수출 경쟁력이 확보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