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부처 새해 업무보고]환경부, 검증 안 된 살생물제품 출시 못한다

입력 2017-01-09 10: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AI 미세먼지 예보모델 시범 운영

올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미세먼지 예보모델이 시범운영된다. 슈퍼컴퓨터가 과거 기상과 대기·미세먼지 농도 간 인과관계를 학습해 농도를 예측하는 방식이다. 또 가습기 살균제와 같은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유해성 검증 없이는 살생물제품(생명에 영향을 주는 제품) 출시를 못하는 살생물제 관리법을 제정한다.

환경부는 9일 ‘2017년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내용의 안전한 환경과 국민 안전 강화 방안을 밝혔다. 우선 초미세먼지망을 기존 191개에서 올해 287개까지 늘려 고동도 미세먼지 예보정확도를 현재 63%에서 70%로 높일 방침이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사업을 지난해 4만8000대에서 6만대까지 확대한다. 수도권 운행제한 제도도 본격 시행한다. 올해는 서울시, 2018년에는 인천시·경기도로 확대할 예정이다. 위반 시 20만 원에서 2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고농도 상황 발생 시 비상저감 조치로 수도권 630여개 공공·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차량 2부제도 실시한다.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9기의 배출기준을 기존 대비 최대 5배로 강화하는 등 배출원 관리도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 6월까지 살생물제와 생활화학제품 전수조사를 완료하고, 문제 제품은 리콜 조치할 계획이다. 위해우려제품은 기존 18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하고, 안전·표시기준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유해성 검증 없이는 살생물제품 출시를 불허하고, 안정이 확인된 물질만 허용하는 살생물제 관리법을 제정할 방침이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지원도 확대한다. 피해 신고자 4438명의 폐 질환에 대한 조사·판정을 마무리하고, 폐 이외 질환까지 인정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지진 관측망을 156개에서 210개까지 늘리고, 지진 긴급재난문자 송출 전용시스템을 구축해 지진 조기경보 통보시간을 기존 50초에서 25초 이내로 2배 이상 단축할 계획이다.

소음·악취·석면 등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층간 이웃사이 서비스를 확대하고, 교통소음지도 작성을 지속 추진한다. 또 올해는 교통소음의 85%를 차지하는 타이어소음 저감을 위해 소음성능을 표시하고, 기준에 적합한 타이어만 보급하는 소음성능 표시제 시행을 대비해 자율표시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명 공직선거법 유죄...‘정당 쪼개기’로 434억 '먹튀' 가능?
  • 하루 시작부터 끝까지…변우석과 함께 보내는 하루! [솔드아웃]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리스크 털어낸 리플…'美 증시ㆍ비트코인' 하락에도 나 홀로 상승
  • 예금자보호한도 23년 만에 1억으로 상향…금융권 파장은?
  • 프리미어12 한국 대표팀, 오늘 일본과 B조예선 3차전…중계 어디서?
  • 韓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국내 채권시장 최악의 시나리오, 환율 상향 고착화”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933,000
    • -2.58%
    • 이더리움
    • 4,340,000
    • -5.01%
    • 비트코인 캐시
    • 596,000
    • -4.64%
    • 리플
    • 1,131
    • +14.82%
    • 솔라나
    • 298,100
    • -3.96%
    • 에이다
    • 840
    • +2.56%
    • 이오스
    • 800
    • +1.01%
    • 트론
    • 256
    • -0.39%
    • 스텔라루멘
    • 186
    • +4.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900
    • -0.71%
    • 체인링크
    • 18,820
    • -2.54%
    • 샌드박스
    • 394
    • -3.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