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부터 2018년까지 78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입주하는 가운데 내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8개월 간 물량 쏠림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7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8개월 월평균 입주물량은 3만8899가구에 이른다. 2016년 월 평균 입주물량이 2만4311가구였다는 것과 비교하면 1.6배 많은 수준이다. 특히 내년 12월에는 4만9622가구가 입주할 예정으로 2000년 이래 월간 기준으로 가장 많은 물량이 입주한다. 또한 내년부터 내후년까지 24개월 중 월간 4만가구 이상이 입주하는 시기는 5번으로 이 또한 역대급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내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8개월간 입주물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총 12만5735가구가 집들이에 나선다. 같은 시기 인천과 서울 역시 각각 2만904가구, 1만2723가구 등 1만가구 이상 입주물량이 예정돼 수도권에서만 총 15만9362가구가 쏟아진다.
지방에서는 △경남(2만8,212가구) △경북(2만141가구) △부산(1만7,918가구) △충남(1만7,799가구) △대구(1만2,495가구) 순으로 1만가구 이상의 입주물량이 예정됐다.
업계에서는 입주물량이 단기간에 늘어날 경우 전세가격 약세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과거 2002~2008년 밀어내기 분양이 급증해 연 평균 입주물량이 33만여가구 쏟아졌을 당시 준공(입주)후 미분양이 2~3배 급증했을 뿐 아니라 할인분양, 기존 계약자 입주 거부 사태, 청약경쟁 미달 사례 등이 속출했기 때문이다. 이에 2008년 하반기에는 서울 강남에서도 세입자를 못 구하는 사례가 나타나기도 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경우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역세전세난이 발생, 전세가격이 1년 동안 18.29%나 하락했다.
입주물량이 늘어나기 이전 2년 동안 전세가격이 급등했다는 점 역시 전세가격 약세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2006년~2007년 전국 전세가격은 평균 13.31% 상승했으며 2015년~2016년 역시 전국 전세가격은 평균 17.59% 올랐다.
입주물량 확대로 전세가격이 하락한다면 집주인의 보증금 상환 부담감이 과거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결국 전세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진 집주인들이 급매물을 내놓게 되고 이는 매매가격 불안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학계에서는 이미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는 최근 가계부채 관련 보고서를 발표, 미래 특정시기에 발생할 물량 급증에 대해 우려감을 표명했다. 해당 보고서는 주택가격이 5% 하락할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 60%를 초과하는 한게기구의 비중은 10.2%까지 상승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정부와 연구기관은 물론 부동산전문가, 주택수요자들까지 미래 특정시점과 특정지역의 공급과잉 또는 수급불균형 문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며 “정책금융 분 아니라 민간 중심의 입주자 전용 대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