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모바일 결제시장이 정부의 화폐개혁 덕분에 뜻밖의 혜택을 누리게 됐다. 정부가 고액권을 없애기로 하면서 소비에 제동이 걸린 가운데 지폐 부족 현상이 계속되면서 소비자들이 모바일 결제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27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탈(脫) 현금’이 아닌, ‘검은돈’ 근절을 목적으로 화폐개혁을 단행했다. 지난 11월 8일 밤 전격적으로 유통 지폐 금액의 약 90%를 차지하던 1000루피(약 1만7700원)와 500루피 사용 금지를 선언했다. 이후 구권 지폐 회수액은 12조 루피에 달했지만 신권 공급규모는 6조 루피 미만으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현금 부족으로 사람들이 은행에 장사진을 이루는 풍경이 일상화가 됐다. 현지 은행들은 한때 인출 금액의 10%를 수수료로 떼기도 했다. 이런 혼란 속에서 모바일 결제가 부상하기 시작했다. 현지 곳곳의 매장에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다는 간판이 걸리게 된 것. 업주들이 구권 폐지 이후 거스름돈이 부족해 고민하던 가운데 모바일 결제라는 대안에 눈을 돌린 것이다. 한 의류 매장은 내점 고객의 10~20%가 모바일로 결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 1위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원97커뮤니케이션의 페이TM은 하루 결제 건수가 650만 건으로, 화폐 개혁 이전보다 세 배 급증했다. 2위인 원모비퀵시스템도 이용자가 이전보다 두 배 가까운 4500만 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원97의 비제이 세카르 샤르마 최고경영자(CEO)는 “지금 우리는 일생 일대의 기회를 맞았다”고 강조했다. 원97은 현재 1만1000명인 직원을 세 배로 늘리는 한편 신규 이용자와 가맹 점포에 페이TM 사용법을 가르치는 자원봉사자 10만 명 채용도 진행하고 있다.
영국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는 인도의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가 현재 중국의 2%, 일본의 15%에 불과하지만 2021년에는 지난해 대비 7배인 40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모바일과 카드를 포함한 비현금 결제가 인도 전체 상거래의 20%에 불과하지만 2020년대 중반에는 현금 결제보다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다만 모바일 결제는 여전히 소액 결제가 중심이기 때문에 구권 폐지의 악영향을 완전히 불식시키는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내년 3월 마감하는 2016 회계연도 인도 경제성장률이 6%대로 침몰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도 내놓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