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미래전략실 해체를 선언하면서, 삼성의 의사결정 시스템이 어떤 식으로 대체될지 주목된다. 당장 그동안 미래전략실에서 주도적으로 맡았던 적대적 인수·합병(M&A) 방어, 공식화된 지주사 전환 문제 해결 등이 당면 과제다.
미래전략실 해체는 청문회 의원들의 압박에 따른, 돌발적 결정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재계 주요 관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이 실질적으로 그룹 전반의 경영을 총괄하면서 삼성은 미래전략실 해체를 상당 부분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를 대비한 해법도 어느 정도 준비됐다는 게 삼성 안팎의 전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8일 “이 부회장이 해체 카드를 내놓은 것은, 청문회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나온 답변이 아닌 것으로 안다”면서 “외부에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았을 뿐, 이미 검토되었던 사안”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미래전략실 해체 선언이 시나리오에 기반한 대응이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내년 3월 주총, ‘엘리엇의 숨은 노림수’ 대응해야 = 미래전략실이 삼성그룹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했던 만큼, 대안 마련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될 것이란 게 지배적인 분석이다. 단기적으로는 그 기능이 그룹의 핵심인 삼성전자 이사회 내부 조직으로 옮겨질 가능성도 있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 10월 삼성전자 등기이사에 오른 바 있다.
본질은 ‘그룹 수뇌부의 의중’에 따라 그 시기가 좌우된다는 점이다. 이 부회장은 일단 눈앞의 현안을 처리한 후, 미래전략실을 해체할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삼성전자는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와의 지분대결 ‘3라운드’가 예고된 상황이다. 양측은 내년 3월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까지 어떤 제안을 내놓고, 얼마나 투자자를 끌어들일 수 있을지 본격적인 수싸움에 돌입한 것이다. 최대한의 이익을 얻으려는 엘리엇이나 총수일가의 지배력 확대가 필요한 삼성 측이나 우호적인 주주를 만들어 놓는 것이 관건이다.
현재 엘리엇은 삼성전자 보통주 0.62%를 보유하고 있다. 현행법상 최근 6개월 사이 지분율을 0.5% 이상 유지한 주주만 주총 안건을 제안할 수 있다. 엘리엇은 지분율 50.74%에 달하는 삼성전자 외국인 주주들을 우군으로 끌어들여 내년 3월 정기주총에서 또다른 제안을 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삼성 입장에서는 미래전략실 중심의 이 같은 현안에 대응하는 조직이 상실될 경우, 그룹 내에서 이를 실행할 대안 조직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전략실 해체는 단순하게 접근할 문제가 아니다.
◇해체 시기… 지주사 전환시기와 맞물릴 듯 = 재계 일각에서는 미래전략실 해체 시기가 지배구조 개편 작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후에 윤곽을 보일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지주사 체제 전환 등 지배구조 개편 작업은 M&A 및 계열사 간 지분 이전 등의 그룹 전체를 놓고 큰 그림을 그리는 내부 조정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또한 각 계열사 간의 잡음을 통일하고 사업을 조정해주는 역할도 해왔다.
현재 미래전략실은 최지성 부회장을 정점으로 대외업무를 총괄하는 장충기 차장(사장), M&A를 포함해 재무를 담당하는 김종중 전략팀장(사장), 정현호 인사지원팀장(사장), 성열우 법무팀장(사장) 등이 주축이 되어 움직이고 있다.
이 부회장이 그룹을 실질적으로 장악하기 위한 지배구조 밑그림을 바꾸는 과정은 현재 진행 중이다. 방산·화학 계열사를 매각하는 사업 구조조정과 함께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등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하면서 ‘이재용 부회장→통합 삼성물산→삼성전자·삼성생명→기타 계열사’로 지배구조를 단순화했다. 이중 지주사 전환은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와 그룹 장악력 확보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의 종착지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