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5명 중 4명은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고용 문제 해결책으로는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대학생과 미취업청년 등 만 18~34세 청년 1600명을 대상으로 ‘2016 청년정책인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 청년의 77.3%는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직장 선택 시 고려할 사항으로는 '회사 규모와 인지도'(5.2%) 보다 '임금과 복지 수준'(30.9%)을 중시한다고 답했다.
다만 중소기업 취업을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해소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조사에서 청년들은 청년고용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등 지나친 근로조건 격차 해소'(25.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능력중심 채용문화 확산'(22.7%), '장시간 근로문제 개선'(13.2%) 등이었다.
청년고용정책 인지도는 48.3%로 나타났다. 청년 10명 중 5명은 정부 정책을 모르는 셈이다. 그나마 이 수치는 지난해 하반기 27.3%보다는 상승한 수치다.
정부의 청년 일자리정책 사업에 관심 있다는 응답자는 71.0%, 청년 일자리 정책 사업을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은 86.6%로 나타났다.
청년정책 인지도는 워크넷(75.7%), 면접 등 취업상담(71.7%), 실업급여(70.4%), 대학 취업지원서비스(60.3%) 등의 순으로 높았다.
청년들은 '취업성공패키지', '취업컨설팅과 상담', '고용지원금', '직업진로지도서비스', '대학창조일자리센터 등을 통한 대학 내 취업지원서비스' 등 실질적인 취업지원 서비스가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답했다.
또 대학과 고용센터 등에서 청년에게 청년고용정책 안내문자를 직접 발송하거나, 청년층이 많이 사용하고 익숙한 SNS를 통한 홍보 등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취업상담이나 일 경험 등 청년고용지원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정책 체감도를 높일 방안들을 다양하게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