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6개구의 매매가격이 입주 5년 이하의 새 아파트 전세가격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새 아파트 전세가격은 3.3㎡ 당 1791만 원으로 서울 16개 구의 매매가격은 그보다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새 아파트 기준은 입주 5년 이하의 아파트로 한정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1886만 원으로 새아파트 전세가격과 90만 원 차이에 불과하다.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할 경우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3000여 만 원인 셈이다.
입주 후 10년이 초과된 아파트의 경우 3.3㎡당 매매가격이 1811만 원으로 새아파트 전세가격과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서울 25개 구 중 16개 구의 매매가격은 새 아파트의 전세가격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 3.3㎡ 당 매매가격이 △중구(1775만 원) △영등포구(1681만 원) △종로구(1642만 원) △동작구(1642만 원), △강서구(1474만 원) △서대문구(1410만 원) △동대문구(1344만 원) 등의 순으로 새 아파트의 전세가격보다 낮았다. 실제 새 아파트 전세가격으로 같은 지역 내 다소 노후된 아파트 매입이 가능하다.
3분기 국토교통부 실거래 현황에 따르면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서 전용면적 84㎡를 전세로 구할 경우 2014년에 입주한 ‘마곡엠밸리 15단지’는 4억 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근 가양동에서 1999년 입주한 ‘한보아파트’ 매매가격은 3억9000만 원이다.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탈 경우 1000만원을 남기고 내 집 마련이 가능한 것이다.
기존 10층 이상의 중층 아파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가상각이 돼 매매가격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감가상각이란 재화(고정자산)의 가치를 일정기간 동안에 소실될 것으로 보고 그것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현재 최저 수준의 금리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전세물건 공급이 부족하고 감가상각 요인까지 아파트 매매가격에 반영된다면, 새아파트 전세가격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