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을 하루 앞두고 자동차업계가 좌불안석이다. 보호무역 강화로 수출길이 막힐 것이란 우려감 때문이다. 차악과 최악의 선택일 뿐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 누가 되든 마찬가지다.
7일 관련 업계 따르면 완성차업체들은 미국 대선 후보별 당선 가능성을 놓고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두 후보가 대통령에 올랐을 때 업계 미치는 영향과 회사가 해야 할 미국 수출 전략에 대해 내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최근 미국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보호무역 색채가 짙어지고 있는 만큼, 올해 초부터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누가 대통령이 되던, 대선 이후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추진해온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무산되거나 당분간 추진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미국이 보호무역으로 돌아서면 세계 교역량은 감소한다.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에게 상당한 여파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후보별로 살펴보면 클린턴은 미국 국익이 지금보다 더 반영돼야 TPP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자유무역주의는 약간 후퇴하겠지만,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공언한 만큼 전기차 부분의 수혜가 기대된다. 특히 이제 걸음마를 뗀 국내 완성차업체보다 해외 업체에 배터리 등을 공급하는 부품사들의 전망이 더 밝다.
최근 ‘테슬라’의 최근 1년간 원가 비중 추이를 보면, 배터리를 생산하는 LG화학이 0.29%에서 0.63%로 눈에 띄게 늘었다. ‘모델3’에 처음 제품 공급을 시작한 한국타이어(2.99%)는 세계 8위의 타이어 그룹 요코하마고무 다음으로 납품 비중이 높다. 열관리 모듈을 공급 중인 한온시스템(0.1%) 역시 선전 중이다.
문제는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다. 그는 TPP를 포함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주장하고 있다. 미국 제조업 보호를 위해 고율 관세 부과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미 FTA 재협상으로 양허 정지가 이뤄질 경우, 2017년에서 2021년까지 5년간 수출 손실이 269억 달러(약 30조7200억 원)에 달하고 일자리는 24만 개가 사라질 것으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자동차업계 타격은 총수출손실의 절반에 해당하는 133억 달러(약 15조19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11만9071개 일자리가 사라질 수도 있다.
국내 자동차 업체 측은 미국서 판매되는 자동차는 대부분 현지 생산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우려하는 것보다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윤우진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가 집권하면 미국 통상 정책이 공격적으로 변해 대미 수출을 포함한 국내 주력 산업의 수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