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에서 올해 아파트 화재로 숨진 사람이 최근 4년 동안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박찬우 의원실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서울 시내에서 아파트 화재로 숨진 사람은 도봉구 아파트 화재 피해자를 포함해 7명이다. 2013년에 3명, 2014년 4명, 지난해 2명과 비교해보면 최근 4년 간 가장 많은 수치다.
또 같은 기간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 자체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3년에는 604건이 발생해 28명이 다쳤고, 2014년에는 614건이 발생해 40명이 부상했다. 지난해에는 668건의 화재로 31명이 다쳤고, 올해 상반기에만 372건의 불이 나 16명이 부상했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아파트가 밀집한 곳에서 상대적으로 불이 자주 났다. 지난해 강남구가 79건으로 화재 발생 건수가 가장 많았고, 노원구 76건, 강서구 47건, 서초구 42건, 양천구 36건 등이 뒤따랐다. 광진구는 7건으로 아파트에서 불이 가장 적게 났다.
박찬우 의원실은 서울 시내 아파트가 2만7000여 동에 달하지만, 화재에 취약한 곳이 여전히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시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으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은 20년 이상 된 아파트는 797곳, 지하주차장이 없는 노후 아파트는 493곳이었다.
특히 단지 주민이 주차 면수보다 차를 많이 보유하거나, 주차 면적이 좁아 소방차 통행이 어려운 아파트도 68곳에 달했다. 지난달 도봉구 아파트 화재도 5분 만에 출동한 소방차가 주차장 차량 때문에 제때 진입하지 못해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왔다.
소방차 통행이 어려운 아파트는 영등포구와 서초구가 각각 17곳으로 가장 많았다. 강남구 9곳, 광진구·송파구 각각 6곳, 동대문구 5곳, 성북구 3곳, 구로구 2곳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박 의원은 "아파트 단지 내 소방차전용구획선은 권고사항일 뿐이어서 마련하지 않아도 제재할 수 없고, 전용구획에 주차해도 과태료 처분을 받지 않는다"며 "공공 주차공간 확보, 인접 건축물 제한, 방화구획 시공기준 강화 등 시민 안전을 위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