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우리은행 매각 대상 지분의 예정가격에 대해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 위원장은 이달 22일 “입찰마감일 당일의 종가, 일정 기간의 주가 흐름, 매도자 실사 결과 우리은행의 적정 주가, 매각성사 가능성 및 공적자금 회수 규모 등 다양한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예정가격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리은행의 신속한 매각을 위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을 후순위로 밀어냈다.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을) 신속하게 민영화하는 것이 바로 공적자금 회수도 극대화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건은 주가다. 우리은행은 상업은행, 한일은행 등 부실 금융기관을 모아 탄생했는데 그동안 12조7663억 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이 중 정부가 8조2869억 원을 회수하고 남은 공적자금은 4조4794억 원이다.
예보가 보유한 지분을 매각해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하려면 주당 약 1만3000원은 받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은행의 주가는 1만 원이 조금 넘는다.
윤 위원장은 이날 우리은행 매각 방안을 발표하면서 매각가격에 대해 원금회수 기준주가는 중요한 참고 지표가 될 수는 있으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우리은행 매각 과정에서 투자자의 자격과 산업 발전 기여도 등 ‘비가격적인 요소’도 일부 반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명분은 차익 시현을 노리는 투기 자본보다 안정적인 주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지만, 헐값 매각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한 사전 포석이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우리은행의 주가가 온전히 남은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오르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다만 올해 들어 매 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는 등 우리은행의 실적이 좋아졌고,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고 있는 점은 주가 상승 여지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때문에 시장에서는 원금 회수가의 90% 수준인 1만1000~1만2000원선에서 매각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우리은행 과점주주 매각 방안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공자위가 지분 4% 이상 신규 낙찰자에게 사외이사 추천 기회를 부여하고, 입찰 지분별로 차등화하는 등 적극적인 경영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게 호재라는 평가다.
이철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우리금융 매각방안은 발표 그 자체만으로도 호재였다”면서 “이번엔 4~8%가량 쪼개 매각해도 인수자에게 이사회 진출을 보장하는 방식을 제안한 것은 이전보다 시장 입장에 더 다가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이번 매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민간의 경영 참여가 일정 부분 보장된다면, 주가에 분명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강혜승 미래에셋증권 연구원도 “과거 네 차례에 걸친 경영권 매각 시도가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무산된 시점에서 과점주주 매각 방안을 택한 것은 정부의 민영화 의지가 크다는 점으로 해석된다”며 “우리은행 민영화가 성공한다면 이는 분명 펀더멘털 개선과 주주 중심 경영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긍정적 요소 및 주가 상승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은행 주가 관전 포인트에 대해 향후 과점주주의 성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와 눈길을 끈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외 연기금 등 장기투자자가 중심이 된다면 주주친화 정책 확대 기대감에 따른 주가 상승이 가능 할 것”이라며 “반면 사모펀드(PEF) 등 단기 투자자에 치중된 과점주주는 차익 실현 등 수급 부담으로 주가 상승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