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LG디스플레이가 최근 뉴욕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분쟁광물 공시’에 따르면, 2013년부터 사내ㆍ외 전문가로 구성된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 지난해‘분쟁광물 사용제한 제련소(CFS)’·인증 진행중인 제련소(CFS+Active)의 비중을 각각 99%·100%까지 대폭 끌어올렸다. 2013년 각각 36%·48%, 2014년 62%·76%를 기록한 바 있다.
분쟁 광물이란 전쟁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노동을 착취해 생산해낸 광물을 말한다.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세계적으로 분쟁광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며 유럽연합(EU)은 지난해 분쟁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석, 탄탈륨, 텅스텐, 금 등을 수입하는 업자들에게 인증을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법을 통과시킨 바 있다.
한 부회장은 사장으로 전격 승진한 2013년부터‘OECD 실사지침서’에 따라 분쟁지역 무장세력과 연관된 광물이 자사의 공급망을 통해 제조ㆍ생산되는지 대대적으로 따지는 한편, 법무ㆍ구매ㆍ재무ㆍ외부 컨설턴트 등으로 구성된 TFT를 조직해 ‘분쟁광물 규제 대응 프로세스’를 확립했다.
2013~2014년 LG디스플레이는 1, 2, 3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분쟁광물 교육을 시행하고, 2015년도는 추가교육을 필요로 하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원산지 조사 수행 절차(RCOI)’를 직접 검토해 주는 등 상생에도 발벗고 나섰다.
이에 따라 2013년도 약 500개에 이르던 LG디스플레이 공급망 내 제련소가 2014년 247개로 축소됐다. 지난해는 CFS 비중을 99%까지 끌어올리며 관계 제련소는 182개로 대폭 정리됐다.
EU가 이르면 올 가을까지 이사회 합의를 통해 새로운 분쟁광물규제법을 성립할 것으로 보이며 한 부회장의 ‘유비무환’경영이 새삼 주목 받고 있다. EU가 법 적용의 범위를 전세계 분쟁지역으로 확장시키며 이 기준을 맞추지 못할 경우 애써 구축한 거래선이 수포로 돌아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올해도 LG디스플레이는 공급망 실사 및 교육을 통한 분쟁광물 규제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자발적 대응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CFSP참여 유도를 통해 자사 공급망 전반에서 분쟁광물의 사용이 금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며 “콩고 민주공화국과 그 주변 9개국 뿐만 아니라 분쟁 및 인권유린이 발생하고 있는 지역의 광물도 사용 하지 않기 위해 노력 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 할 것이다”고 밝혔다.